ENG
성명 및 논평
Solidarity for LGBT Human Rights of Korea
 

 

국제성소수자혐오반대의날 맞이 아이다호 공동행동 마무리 기자회견

- 우리가 모이면 그곳이 광장이다! -

[기자회견문]

성소수자혐오반대의 아이다호를 마무리하며

- 우리가 모이면 그곳이 광장이다! -

매년 성소수자 인권운동은 5 17 성소수자혐오반대의 날을 기념하며 아이다호 공동행동을 기획하고 진행했다. 이는 정상성의 규범과 탄압에 맞서 저마다의 언어와 몸짓을 만들고 투쟁해온 성소수자 운동의 오랜 역사를 기념하는 동시에, 사회 변화를 위해 성소수자들이 평등과 인권을 요구해온 자리기도 하다. 그렇게 광장에 모인 퀴어 대중들은 행진하고 노래하고 춤추면서 자신의 존재를 알려왔다.

올해는 코로나19 직접적인 모임과 행동이 어려운 상황에서 온라인 캠페인과 유튜브 광고, 지하철역 광고를 진행했다. 성소수자들의 항쟁을 기념하는 6 프라이드의 달에 맞춰 마무리하기로 계획한 프로젝트는 8 마지막 마무리를 선언하면서도 여전히 광고 훼손자에 대한 수색과 처벌을 기다리고 있다. 이는 올해 아이다호 캠페인이 진행부터 얼마나 많은 우여곡절이 있었는가를 보여준다.

아이다호 사업들 중에서도 무엇보다 역량이 투입된 프로젝트는 지하철역 광고 게시였다. 대중에게 가장 많이 노출될 있고, 그만큼 이슈가 되는 장점도 있지만, 직접적인 접촉과 대면 없이도 사회에 성소수자들의 모습을 보일 있는 기획이었다. 성소수자 당사자가 참여하고 해당 장소를 찾아 위로를 얻고 힘을 내는 과정은 여느 집회와 행진의 효과를 기대할 있었다.

하지만 광고는 설치부터 서울교통공사가 이유 없이 심의에서 떨어뜨리는 수난을 겪었다. 설치된 후에도 광고는 동성애가 싫다는 이유로 수차례 훼손당했다. 이는 광고 철거를 앞둔 며칠 전에도 훼손당하는 일이 벌어졌다.

광고는 한국사회를 살아가는 성소수자들의 현주소를 보여준다. ‘성소수자는 당신 곁에 있습니다라고 자신의 목소리를 끊임없이 내는 중에도 우리는 언제 어떤 공격과 위협을 당할지 조마조마하며 긴장으로 일상을 보낸다. 성소수자가 공적 공간에 모습을 보이고 목소리 내는 것을 반대하고 강제적으로 지우는 상황은, 역설적이게도 그만큼 저들이 반대하는 포괄적 차별금지법이 얼마나 필요한가를 입증한다.

광고가 훼손되고 권리를 요구하는 성소수자의 목소리가 폄하되는 것에 대해 성소수자 당사자뿐 아니라 인권과 평등을 갈망하는 이들이 다같이 슬퍼하고 화를 냈던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하다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화를 낼지언정 위축되지 않았다. 거절하면 즉각적으로 집단항의를 진행하고 광고를 훼손하면 이들을 규탄하며 다시 만들고 우리의 이야기를 붙여나갔다. 광고판이 게시되는 기간동안 신촌역은 우리가 만들고 지키는데 나아가 여론이 주목하고 시민들이 찾는 스팟이 되었다. 매일 같이 많은 퀴어들을 비롯한 시민들이 참여하는 광고는 공적으로 기념되거나 기억되지 못했던 성소수자의 언어와 얼굴들이 공공장소를 점거하는 집단적 실천이기도 했다.

사람들이 십시일반 후원하며 자신의 얼굴을 모으고 메시지와 인증샷을 남기는 시간은 우리가 떨어져 있을지라도 언제라도 함께하고 있음을 체감케 했다. 그것은 우리가 특정 장소에 직접 찾아가 만나지 않더라도 어디든 우리의 열망이 모이는 그곳은 광장이 있음을 확인시켜주었다. 이는 지배적인 질서가 작동하는 공간으로부터 우리가 서로에게 신호를 보내고 만남과 관계를 추구하면서 우리의 영토를 지속적으로 변화시키고 구축해나가는 퀴어 공간의 역사에 연결되어 있다.

지금 우리가 마주한 광고판의 얼굴은 기념비적인 모습보다는 많이 망가진 전장에 가까워 보인다. 수다한 이야기와 구호들이 붙었지만, 같은 기간 동안 우리의 목소리도 많이 떼어져 나갔다. 하지만 우리는 어떤 위협과 공격에도 개의치 않을 것이다. 언제 어디서든 나타나 장소의 규범을 거스르고 일탈해온 퀴어들의 몸짓은 오랜 시간 가슴 속에 변화에 대한 갈망으로 확산되었다. 우리는 서로 만나 공동의 삶을 지지하며 사회 변화를 위한 평등과 인권을 요구하고 실천할 것이다. 직접적인 만남이 어려울지라도 우리는 어떻게든 서로 연결되었음을 확인하며 춤추고 노래할 것이다. 우리가 만나면 그곳이 광장이다.

2020. 8. 31

아이다호 공동행동 × 성소수자차별반대무지개행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상담 및 인터뷰 요청 전 꼭 읽어주세요! 동인련 2010.05.12 85403
244 [성명서] 국가인권위원회의 부실화를 부추기는 무자격, 반인권 인사의 임명에 반대한다. 웅- 2015.01.09 1437
243 마을의 작은 전시마저 ‘성소수자’라고 거부한 서울시? 장수마을 청소년 성소수자 관련 전시지원 거부한 서울시 규탄 입장 및 질의 file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15.06.16 1496
242 [카드뉴스] 군형법 제92조 6에 대한 오해 1~3 file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16.07.27 1550
241 9인의 헌법재판관들에게, 헌법재판소의 존재를 묻는다! 병권 2014.12.22 1553
240 박원순 서울시장은 시민위원회의 결정을 묵살하려 하는가? 「서울시민 인권헌장」을 조속히 선포하라! 덕현 2014.12.01 1575
239 한국은 이스라엘과의 무기거래 / 군사원조를 당장 중단하라! 병권 2014.08.11 1611
238 [성명서] 트랜스젠더에 대한 병역면제취소처분의 위법성을 인정한 판결을 환영하며 - 병무청은 트랜스젠더에 대한 인권침해적 병역처분 관행을 즉시 시정하라! 동인련 2015.02.02 1617
237 [기자회견문]교육부의 차별조장 <학교성교육표준안> 도입을 즉각 중단하고 관련 내용을 전면 재검토하라! file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15.04.13 1631
236 [논평]한 트랜스젠더의 퇴사 소식이 보여준 트랜스젠더 차별의 현실 file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15.12.29 1663
235 국회는 제대로 된 4.16특별법을 제정하라 -철저한 진상규명 그리고 생명과 안전에 대한 권리가 보장되는 특별법이 시민과 가족이 원하는 것이다 병권 2014.07.17 1714
234 [성명서]민주주의를 부정하는 헌법재판소의 통합진보당 해산 결정을 규탄한다 병권 2014.12.19 1749
233 [기자회견문] 서울시 주민참여예산사업 <청소년 무지개와 함께 지원센터> 불용위기에 부쳐 인권도시 성북은 죽었는가? 병권 2014.12.31 1771
232 [기자회견문] 요양병원들의 HIV/AIDS감염인에 대한 입원 거부는 장애인차별금지법상 금지된 차별행위이다 병권 2014.07.17 1790
231 <성명> 인권위법과 ICC 권고에 어긋난 인권위원 임명이 웬 말이냐! 동성애 차별 발언과 차별금지법 거부한 최이우는 사퇴하라! 병권 2014.11.10 1847
230 [보도자료] 서울시민인권헌장 제정 시민위원회의 결정 환영 및 서울시의 입장에 대한 유감 표명 병권 2014.11.29 1847
229 <기자회견문> 트랜스젠더 신체훼손 강요하는 병무청의 인권침해를 강력히 규탄하고, 국가인권위원회의 개선 권고를 요구한다. file 병권 2014.10.22 1883
228 서울시 주민참여예산사업 <청소년무지개와 함께 지원센터> 사업예산 불용 및 경찰폭력 규탄 기자회견문 웅- 2015.01.05 1900
227 <성 명> 쇄신보다는 시민사회를 비난하는 인권위에게 제 역할을 기대하기 어렵다- 현병철 위원장은 A등급의 국가인권기구 수장 자격이 있는지부터 돌아봐야 웅- 2015.01.15 1910
226 반인권 행사 ‘탈동성애인권포럼’에 장소 제공한 국가인권위원회를 규탄한다 동인련 2015.03.19 1923
225 [보도자료]토크온에 ‘성소수자’ ‘동성애자’ 단어를 포함한 제목으로 채팅방 개설 못하는 것은 성소수자 차별,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는 사과 및 재발방지 약속 file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16.08.30 1931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31 Next
/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