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
성명 및 논평
Solidarity for LGBT Human Rights of Korea

[환영 논평]

노동자 김진숙의 명예복직을 축하하며

 

1981년 입사했다. 현장에서 동료들이 죽음을 넘나들며 노동했다. 그러던 시절에 노동조합이 다가왔다. 용기내어 인간답게 살고 싶다고 소리쳤다. 1986년 노동조합 활동을 이유로 부당해고 당했다. 그때부터 복직 투쟁을 시작했다. 37년. 숫자로 표현되지 않는 시간이었다. 그 시간동안, 구조조정에 맞서 크레인에 올라가 기약없는 고공농성도 했고, 복직과 고용안정 없는 한진중공업의 매각을 반대하는 염원을 담아 부산부터 서울까지 하염없이 걷기도 했다.

 

1986년과 2022년은 얼마나 다른가. 여전히 수많은 일터에서 ‘악’소리도 내지 못하는 노동자가 존재한다. 인간답게 살고 싶어서 입이라도 열면 일터는 노동자를 조각낸다. 그동안의 근무 태도나 업무 성과가 좋지 않았다며 악의적으로 소문내거나 쫓아낸다. 단지 입을 열었다는 이유로 노동자는 자신의 노동을 부정당하고, 또 부정당한다. 비어가는 통장 잔고와 막막한 현실 앞에 노동자는 마음이 무너진다. 그래서 ‘해고는 살인이다.’ 

 

성소수자 노동자는 해고 노동자와 함께 한다. 우리는 닮아있기 때문이다. 험난한 일터에서 우리는 침묵하지 않았다. 해고 노동자는 일터에서 모두에게 안전한 노동 환경을 보장하라고 소리쳤고, 성소수자 노동자는 모두가 나로써 존재할 수 있는 일터를 보장하라고 소리쳤다. 우리는 함께, 또 각자의 자리에서 모두를 위한 일터를 만들기 위해 싸웠다. 

 

김진숙의 싸움은 연대의 장이었다. 그는 SNS를 통해 수많은 사람들과 소통했고, 각자의 자리에서 자신의 싸움을 하는 수많은 노동자, 사회적 소수자들과 함께하며 목소리를 내는 일에 주저하지 않았다. 성소수자의 삶 또한 예외가 아니었다. 김진숙은 2011년 여름 희망버스를 타고 그가 고공농성 중이던 크레인을 찾아간 이들에게 감사와 연대의 인사를 전하며 ‘성소수자 동지 여러분’을 호명했다. 그해 겨울에는 서울시학생인권조례 원안통과를 위해 서울시의회에서 농성을 하고 있던 성소수자들에게 지지를 표하며 힘을 보탰다. 당시만해도 노동운동에서 성소수자 의제에 관심을 갖고 목소리 내는 이들이 많지 않았기 때문에 김진숙의 발언은 수많은 성소수자들에게 깊은 울림을 남겼다. 그렇게 김진숙은 사회적으로 배제당하고 소외받는 이들과 연대와 지지를 주고 받으며 자신의 싸움을 이어왔다. 그래서 김진숙의 명예복직은 우리 모두의 명예복직이다.

 

부당해고부터 명예복직이 되기까지 37년이 걸렸다. 한참 늦은 소식이다. 긴 시간동안 복직소식을 듣지 못하고 싸우다 곁을 떠난 동지들이 적지 않다. 여전히 많은 노동자들이 제 권리와 존엄을 위해 일터에서 싸우고 있다. 마냥 기뻐할 수 없는 현실이지만 우리는 오랜시간 싸워온 수많은 노동자, 사회적 소수자들과 함께 걸으며 자신의 싸움을 이어 온 노동자 김진숙의 시간에 존경과 감사를 보내며 축배를 든다. 이제 그가 싸우며 만들어낸 길을 함께 이을 때다. 그의 말마따나 비정규직, 장애인, 농민, 여성, 이주노동자를 배제하지 않으며 연대할때 우리는 자본을 이길 수 있다. 아시아나케이오 노동자가, 세브란스 청소노동자가, 택배 노동자가, 그리고 호명되지 못한 수많은 노동자가 일터로 돌아가야 한다. 그때까지 우리 웃으며 함께 투쟁하자. 투쟁!

 

2022년 2월 24일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상담 및 인터뷰 요청 전 꼭 읽어주세요! 동인련 2010.05.12 85403
63 [차제연X무지개행동 성명] 우리는 무지개빛 연대로 평등을 향해 나아갈 것이다. - 한신대학교 신학대학원의 故임보라 목사 추모문화제 장소 대관불허에 부쳐 file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3.03.10 139
62 [무지개행동 논평] 트랜스젠더 성별정정 허가, 당사자의 의사에 반하는 수술강제가 인권침해라는 법원의 결정을 환영한다!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3.03.15 76
61 [공동논평] 지자체들은 학생인권조례 폐지 시도 즉각 중단하라! 지금 학교에 필요한 것은 평등과 존엄이다!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3.03.16 134
60 [공동 성명] 성소수자 차별을 정당화하기 위해 혐오를 동원하는 국민건강보험공단, 유감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3.03.23 118
59 [성명] 삶이 투쟁이 되지 않기를 - 3월 31일 트랜스젠더 가시화의 날을 맞이하여 file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3.03.31 222
58 [차제연 성명] 이재명 대표는 후퇴를 멈춰라. 차별금지법 제정은 당신의 역할과 책임이다.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3.04.19 136
57 [언론 모니터링] 혐오와 낙인이 방역에 해가 된다는 코로나19의 교훈을 잊었는가. 엠폭스발 성소수자 혐오를 중단하라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3.04.19 117
56 [에이즈넷 논평] 성소수자와 HIV감염인의 인권을 공격하는 KNN 방송 등을 규탄한다.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3.04.26 135
55 [무지개행동, 가구넷 공동 논평] 국회 최초의 생활동반자법 발의를 환영하며, 나아가 평등권 실현을 위하여 성소수자를 배제하는 혼인제도를 개정할 것을 촉구한다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3.04.26 113
54 [성명] 우리는 누구도 미끄러지지 않는 일터를 원한다. - 2023 노동절을 맞아 file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3.05.01 260
53 [무지개행동 성명] 성소수자를 밀어내고 차별과 혐오로 광장을 메우려는 서울시에 분노한다. 서울퀴어문화축제 서울광장 사용을 수리하라!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3.05.04 120
52 [국제 성소수자 혐오 반대의 날 기념 성명] 곁을 모으고 함께 외치는 힘으로 변화는 계속된다.  file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3.05.17 231
51 2023 국제성소수자혐오반대의날 투쟁대회 공동선언문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3.05.22 125
50 [공동성명] 혐오발언을 일삼는 국가인권위원 자격 없다.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3.05.22 99
49 [무지개행동 논평] 성별정정에 있어 성전환수술 요구가 인권침해임을 확인한 인권위 결정을 환영한다. 국회와 법원은 적극적으로 권고를 이행하라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3.05.26 108
48 [무지개행동 논평] 동성혼 법제화, 비혼 출산 지원, 생활동반자 제도화 ‘가족구성권 3법’ 발의를 환영한다. 국회는 다양한 가족을 인정하고 시대 요구에 응답하라.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3.05.31 128
47 [혼인평등연대 논평] 혼인평등 실현을 위한 국회의 역사적 진전을 환영한다. 혼인평등법안을 포함한 가족구성권 3법 발의에 부쳐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3.05.31 95
46 [논평] 가족구성권 3법 발의를 환영하며, 국회는 성소수자 배제 없는 혼인평등 실현하라. file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3.05.31 180
45 [차별금지법제정연대 논평] 차별 없는 일상, 한 발 다가선 평등 - 가족구성권 3법 발의를 환영하며 -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3.05.31 91
44 [발언문] 가족구성권 3법 발의 기자회견 - 혼인평등 당사자 발언 (소성욱&김용민 부부) file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3.05.31 171
Board Pagination Prev 1 ...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Next
/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