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
성명 및 논평
Solidarity for LGBT Human Rights of Korea

2023_가시화의날.png

 

[성명] 삶이 투쟁이 되지 않기를 - 3월 31일 트랜스젠더 가시화의 날을 맞이하여

 

매년 3월 31일은 트랜스젠더 가시화의 날입니다. 우리는 투쟁이 일상인 삶을 살아왔습니다. 병원, 학교, 일터, 그리고 화장실처럼 많은 이들에게 일상적인 공간이 우리에게는 투쟁의 현장입니다. 2023년 2월 21일, 법원은 ‘누구나 어떤 면에서는 소수자일 수 있다’, ‘소수자에 속한다는 것은 다수자와 다르다는 것일 뿐, 그 자체로 틀리거나 잘못된 것일 수 없다’라며 동성부부 피부양자 자격을 인정했습니다. 판결문의 내용은 성소수자뿐 아니라 많은 시민들에게 울림을 남겼습니다. 우리는 조금 다른 존재일 뿐입니다. 틀리거나 잘못된 존재가 아닙니다. 그럼에도 우리는 법과 제도는 물론, 일상 속 차별과 혐오에 맞서 투쟁하며 살아왔습니다. 우리는 트랜스젠더가 투쟁하며 살지 않고, 평범하게 살아갈 수 있는 세상을 위한 다양한 사회적 변화를 요구합니다.  

 

 

트랜스젠더의 인권을 존중하는 성별정정특별법을 제정하라.
 2023년 3월, 법원은 “당사자의 의사에 반하는 성전환수술 강제가 개인의 존엄을 침해하므로, 수술이 아닌 다른 요건에 의하여 그 사람의 성 정체성을 판단이 가능하다면 그에 의하여 성 정체성을 판단하면 된다”며 비수술 트랜스젠더 성별정정을 허가했습니다. 이러한 판결에도 불구하고 트랜스젠더가 저마다 자신이 정체화 한 성별대로 인정받고 살아갈 수 있도록 지지하고 지원하는  법은 부재합니다. 지금의 성별정정제도 안에서 트랜스젠더는 자신의 성별을 법원과 담당 판사에게 증명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호르몬과 수술 등 의료적 조치를 요구받기도 합니다. 의료적 조치는 보험 적용이 되지 않아 과도한 비용을 필요로 하며, 이는 경제적 어려움으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특히 본인의 의사와 상관 없이 수술을 요구하는 대법원의 예규는 트랜스젠더의 건강을 위협하며, 재생산권을 박탈합니다. 부당한 성별정정 요건을 완화한, 트랜스젠더의 존엄을 존중하는 성별정정특별법 제정을 촉구합니다.

 

 

차별과 배제 없이 배우고 일할 권리를 보장하라.
 법적 성별을 정정하더라도 정정된 성별로 보이지 않는다는 이유로, 혹은 정정을 했다는 이유만으로 트랜스젠더는 학교에서, 직장에서 차별받고 배제당하고 있습니다. 배우고 일하는 것은 생존에 필수적인 사회활동입니다. 다르다는 이유로 배우고 일할 권리를 박탈당하는 것은 부당합니다. 

 

 우리는 차별 없이 배울 수 있어야 합니다. 2020년, 트랜스젠더 여성 A씨가 숙명여대의 문을 두드렸습니다. 하지만 학내외의 혐오와 반대에 부딪혔고 결국 입학을 포기하기에 이르렀습니다. 세계인권선언 제26조 1에서는 모든 사람은 교육받을 권리를 가진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숙명여대 A씨 사건이 그러했듯, 트랜스젠더는 교육받을 권리를 박탈당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차별과 배제 없이 일할 수 있어야 합니다. 2020년 1월 20일, 대한민국의 군인 변희수 하사는 기자회견에서 자신이 성확정 수술을 했고, 트랜스젠더 군인으로서 군 복무를 이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변희수 하사가 원했던 것은 온전한 자신으로 일할 권리였습니다. 하지만 군은 변희수 하사의 성확정 수술을 이유로 강제 전역시켰습니다. 당당하게 자신의 존재를 드러냄으로써 성소수자 커뮤니티의 큰 희망과 용기가 되었던 변희수 하사는 결국 안타깝게 세상을 떠났습니다. 세계인권선언 제23조 1에서는 모든 사람은 일, 직업의 자유로운 선택을 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우리는 변희수 하사를 기억하며, 트랜스젠더라는 이유로 일터에서 차별받는 일이 일어나지 않는 사회를 향해 나아갈 것입니다.

 

 

불필요한 성별 정보 표기를 없애라. 
 트랜스젠더는 관공서, 병원, 은행, 보험사나 카드사 같은 본인 인증을 필요로 하는 곳에서 법적성별과 드러나는 성별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차별과 혐오를 겪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당사자들은  당장 필요한 의료적 처치, 생존에 필수적인 경제활동, 일상적인 사회생활을 스스로 제한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차별적인 현실을 바꾸기 위한  인식 교육과 제도 개선의 방안은 아직 논의조차 되지 않고 있습니다. 불필요한 성별정보를 요구하는 지금의 제도와 관행은 개선되어야 합니다. 

 

 우리는 언제쯤 투쟁 없는 일상을 살아갈 수 있을까요? 우리는 트랜스젠더로서 평범하게 살아갈 수 있는 세상을 원합니다. 모든 트랜스젠더가 평범한 일상을 누리는 날까지 우리는 모두의 평등한 권리를 위해 멈추지 않을 것입니다. 삶이 투쟁이 되지 않는 세상을 위해 나아갈 것입니다. 

 


2023년 3월 31일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상담 및 인터뷰 요청 전 꼭 읽어주세요! 동인련 2010.05.12 85403
343 [무지개행동 성명] 평등으로 한껏 더 나아가자 - 국가인권위원회의 평등법 제정 의견표명을 환영한다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0.07.07 56
342 [무지개행동 성명] 평등을 위해 싸워온 그리고 이 사회를 살아가는 모든 성소수자의 이름으로, 함께 평등을 꽃피우자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2.04.14 53
341 [무지개행동 성명]성소수자 혐오선동에 굴하지 않겠다. 인권의 지평을 넓히기 위한 싸움은 이제부터 시작이다.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17.09.18 165
340 [무지개행동 성명]이성호 국가인권위원장 후보자는 인권을 논할 자격이 없다 박근혜 대통령은 이성호 국가인권위원장 후보자 내정을 철회하라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15.07.31 1090
339 [무지개행동 성명]혐오와 합의할 수 없다. 더불어민주당은 더 이상 혐오에 손내밀지 말고 차별금지법을 제정하라 - 11월 25일 더불어민주당 평등법(차별금지법) 토론회에 부쳐 -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1.11.23 37
338 [무지개행동, 가구넷 공동 논평] 국회 최초의 생활동반자법 발의를 환영하며, 나아가 평등권 실현을 위하여 성소수자를 배제하는 혼인제도를 개정할 것을 촉구한다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3.04.26 113
337 [무지개행동] 낙태죄 완전 폐지 성소수자 선언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0.11.04 209
336 [무지개행동] 서울시 주민제안사업마저 훼손하려고 하는가. - ‘청소년 무지개와 함께’ 지원센터는 더 많은 곳에 설립되어야 한다! - 동인련 2013.07.04 5503
335 [무지개행동·차제연 공동성명] 보수개신교와 야합한 박홍근, 이승환 두 후보의 혐오발언 강력히 규탄한다. 제22대 총선 우리는 평등에 투표할 것이다. file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4.04.01 58
334 [무지개행동성명]유엔 12개 기구의 성소수자 권리에 관한 공동성명 환영한다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15.10.02 991
333 [미디어논평] 질병을 둘러싼 과도한 접근은 공익을 저해할 뿐 file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2.07.03 158
332 [미디어모니터링 논평] 공영방송은 저열한 트랜스 혐오 선동을 멈춰라 - 1월 25일자 MBC <생방송 오늘아침> 방송에 부쳐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1.01.28 206
331 [미쇠고기반대집회사법처리규탄_연대성명]경찰은 국민의 자유에 대한 자의적 판단과 처벌을 멈춰라 동인련 2008.05.06 6324
330 [민원 ]문형표 장관님, HIV/AIDS감염인과의 면담을 요청드립니다. 웅- 2014.11.24 1323
329 [발언문] 가족구성권 3법 발의 기자회견 - 혼인평등 당사자 발언 (소성욱&김용민 부부) file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3.05.31 171
328 [변하사공대위 성명] 군사망사고진상규명위원회의 변희수 하사 사망사건 직권조사 개시 결정을 환영한다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1.12.14 304
327 [변하사공대위 성명] 변희수 하사 강제전역 사건에 대한 국방부, 육군본부의 국가인권위원회 권고 불수용 결정을 규탄한다. file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1.05.12 57
326 [보도자료] 관심병사 관리보다 더 중요한 것은 성소수자들에게도 안전한 군대를 만드는 것 - 동반 자살한 28사단 병사들을 추모하며 - 정욜 2014.08.14 2615
325 [보도자료] 당신의 인권이 여기에 있다- 6일간의 서울시청 점거농성을 마무리하며 웅- 2014.12.11 1295
324 [보도자료] 반복되는 에이즈환자 수술거부, 국가인권위에 진정하다 병권 2014.11.11 2345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31 Next
/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