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
성명 및 논평
Solidarity for LGBT Human Rights of Korea

[#모두의결혼에서_알려드립니다]

한동훈 대한민국 법무부(Ministry of Justice) 장관의 동성혼 법제화와 생활동반자법안에 대한 입장과 관련한 설명입니다.

 

8월 15일 광복절 휴일이 거의 끝나가던 저녁 대한민국 법무부의 공식 SNS계정은 한동훈 법무부 장관의 동성결혼과 생활동반자법에 대한 입장을 배포하였습니다. 외국 대학의 한 철학자가 신간 출간을 맞아 한국의 일간지와 이메일로 주고받은 긴 인터뷰 내용에 대해, 불과 몇 시간만인 휴일 밤 9시에 법무부 공식계정으로 (묻지도 않은) 입장을 밝힌 것입니다.

 

현 한국 정부가 동성결혼에 부정적 입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새로운 사실이 아닙니다. 최근 유엔 4차 보편적 인권정례검토에서 3개 국가의 ‘동성혼 법제화' 권고에 대해 한국 정부는 수용불가 입장을 밝히기도 했습니다.

 

한국의 시민들이 급박하게 알아야 할 사항은 더욱 아니었습니다. 한 국가의 법무부가 기본권 실현 임무를 거부하며 하는 말이 ‘자랑스러운 말’이기는 어렵기 때문이죠. ‘이미 관련 법안이 국회에 발의되어 있으며 한국 정부는 여러 국가의 법정책을 검토 중이다’가 그나마 공식적으로 할 수 있는 적절한 수준일 것입니다. ‘더불어민주당에 물어보라'는 등의 여러 사족은 법무부가 아니라 장관 개인의 입장이라고 볼 수 밖에 없습니다.

 

이렇게 법무부 장관 개인의 자의식이 섞인 정쟁에서 삭제된 것은 당사자들이 겪는 차별과 동성 간 혼인 불인정이 기본권 침해라는 본질입니다. 오늘 17일 두 번째 후속입장까지 공개되었으나, 여전히 ‘틀린 말’ 그리고 ‘자랑스럽지 않은 말’로 가득합니다. 모두의 결혼이 정확히 알려드리겠습니다.

 

첫째, 이미 사회적 합의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한 여론조사 연구소에서 정기적으로 진행하는 동성혼 법제화에 관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올해 한국 시민의 동성혼 찬성은 40%를 넘어섰습니다. 이미 2,30대는 과반 이상이 동성혼 법제화에 찬성하고 있으며, 40대 이상에서도 찬반 격차가 계속 감소하고 있습니다. 동성혼 법제화를 이룬 상당수의 국가에서는 시민의 30-40%가 동성혼 법제화에 찬성할 때 정부와 국회 주도로 동성혼 법제화가 이루어졌으며 그 이후 성소수자에 대한 인식과 수용, 동성혼에 대한 찬성율은 더욱 올라갔습니다.

 

둘째, 한국 가족 법정책에서는 해결되지 않은 차별과 배제가 많습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관련 법안이 크게 2가지 종류로 제출되어 있습니다. 현재 21대 국회에는 동성간의 혼인을 가능하게 하는 민법 일부개정법률안(장혜영의원 등 12인)이 발의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혼인이 아닌 생활동반자에 대한 보호를 제공하는 생활동반자관계에 관한 법률안이, 4월 27일 (용혜인의원 등 11인), 5월 31일 (장혜영의원 등 14인) 발의되어 있습니다.

 

서로 돌보며 함께 사는 사람들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로는 크게 혼인, 등록동거, 등록이 아닌 동거 3단계가 있습니다. 동성결혼 불인정, 즉 동성 간에만 혼인이 불가능한 것은 헌법상 제11조 평등권, 제 36조 제1항 혼인과 가족생활권의 침해입니다. 이에 반해 한국의 생활동반자법은 등록동거의 한 형태로 혼인관계가 아닌 두 사람을 보호합니다. 국가마다 등록등거관계를 정의하는 것은 정책수요, 실태 등을 보고 다르게 결정할 수 있습니다. 꼭 결혼과 비슷한 관계가 아니라, 친구, 형제자매인 곳도 있습니다.

 

독일의 2001년 생활동반자법(Lebenspartnerschaft)과 비슷한 단어라서 혼동하신 것 같습니다. 독일의 생활동반자법은 동성 간에만 가능했던 일종의 동성혼 선행 제도였습니다.

 

법을 다루는 부처라면 정확해야 합니다. 한국의 여러 정책기관에서 출간된 연구보고서가 있으니 업무에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서울가정법원과 서울행정법원이 위치한 양재역의 한 빌딩에는 성별과 관계없이 누구나 혼인제도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는 ‘모두의 결혼’ 캠페인 광고가 지금 이 시간에도 송출되고 있습니다. 한 장관의 개인적 견해와는 상관없이, 아니 이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은 평등을 향해 계속 앞으로 나아갑니다.

 

너무나도 당연한 일을 부정확하게 ‘반박'하기 위해 한 국가의 중앙부처의 자원을 사용하는 것은 자제해주기 바랍니다. 실제 사람들의 삶이 걸려있는 문제입니다.

 

주디스 버틀러 교수가 맞는 말을 했습니다. “피할 수 없는 일을 피하려고 하는군요.”

 

2023. 8. 17

 

모두의 결혼

사랑이 이길 때까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상담 및 인터뷰 요청 전 꼭 읽어주세요! 동인련 2010.05.12 85407
424 [성명] 토론조차 이루어지지 못한 서울학생인권조례 개악시도 토론회. 진보와 보수의 갈등이 아닌, 인권침해와 폭력의 문제이다. 덕현 2014.01.17 3335
423 1월23일, 에이즈 사업관련 질병관리본부의 반인권/위법/불통 업무처리에 대한 공익감사청구를 하다!!! 정욜 2014.01.23 3609
422 [논평]성소수자 외면하고 탄압하는 소치 올림픽, ‘모두의 올림픽’ 아니다 러시아 정부는 성소수자 탄압을 중단하라! file 덕현 2014.02.07 4028
421 [보도자료] 수동연세요양병원=에이즈환자 ‘수용소’, 인권침해와 차별이 난무한 요양병원은 없어져야한다 file 정욜 2014.02.14 7377
420 [성명서] 인권을 휴지통에 버릴 것이냐! 서울학생인권조례 개악 시도는 중단되어야 한다. 덕현 2014.02.14 2786
419 내란음모 사건 판결에 대한 인권단체 입장 덕현 2014.02.18 2981
418 [성소수자차별반대 무지개행동 논평]동성애혐오성 집단괴롭힘으로 인해 자살한 학생에 대하여 집단괴롭힘에 대한 학교 책임만 인정하고 자살에 대한 학교 책임은 부정한 판결 덕현 2014.02.19 3535
417 밀양 송전탑 공사 관련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전력의 위법 행위에 대한 행정소송 기자회견문 덕현 2014.02.27 3018
416 국가인권위원회에 질병관리본부의 에이즈환자 장기요양사업 위탁 철회에 따른 환자 긴급구제 신청을 했습니다. 정욜 2014.03.03 2985
415 [환영논평] 드디어 군형법 제92조의 6 폐지안이 입법 발의되었다. 군형법 제92조의6 폐지안 발의를 환영한다! 정욜 2014.03.18 3517
414 [논평] 성소수자 인권은 찬반문제가 아니다. 교학사 ‘생활과 윤리’ 교과서 수정은 인권의 후퇴다. 덕현 2014.03.20 3484
413 <성명서> ‘사랑’의 뜻풀이를 ‘남녀’간으로 한정한 국립국어원의 재개정은 명백한 성소수자 차별이다. 동인련 2014.03.31 3342
412 <논평> 자녀가 반대한다는 이유로 성별정정을 불허한 법원 결정은 개인의 성적자기결정권과 존엄을 무시한 처사 - 혐오와 편견이 빚어낸 안타까운 가족사의 책임을 소수자에게 묻는 것이 온당한가 동인련 2014.04.04 2839
411 〔성명서〕 헛손질과 책임회피는 이제 그만, 세월호 피해자의 인권을 요구한다. 동인련 2014.04.24 2325
410 [논평] 학생들을 죽인 것은 학교가 아닌가! 우리에게 인권친화적 학교를! - 진주외국어고등학교 사망 사건 재발방지를 촉구하며 동인련 2014.04.24 2730
409 <'제2회 알바데이를 맞이하여> 일터에 차별을 없애라! file 동인련 2014.04.29 3192
408 [기자회견문] 사실규명도, 차별시정도 없었다 -'문서' 몇 장으로 책임을 다했다는 질병관리본부와 국가인권위원회를 규탄한다- 정욜 2014.05.08 2608
407 [보도자료]박근혜 퇴진 5.18 청와대 만민공동회(2차) 개최 file 웅- 2014.05.13 2707
406 [성명서] 6월 4일, 세월호 참사를 잊지 말고 인권과 존엄, 안전을 위해 혐오에 맞서 투표합시다. file 웅- 2014.05.26 2655
405 무지개행동/퀴어문화축제조직위 공동 입장 - 우리가 어떻게 애도하고 저항하고 그리고 뜨겁게 사랑하는지 보여주자! 병권 2014.05.30 2917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31 Next
/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