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
성명 및 논평
Solidarity for LGBT Human Rights of Korea


마을의 작은 전시마저 성소수자라고 거부한 서울시?

- 장수마을 청소년 성소수자 관련 전시지원 거부한 서울시 규탄 입장 및 질의 -



전시포스터.jpg



성북구 삼선동에 위치한 장수마을 마을박물관에서 개최예정이었던 청소년성소수자 전시회우리동네 무지개가 서울시의 지원거부로 더 이상 진행될 수 없게 되었습니다. 전시기획에 처음부터 참여했던 시민모임 즐거운교육상상, 청소년성소수자위기지원센터 띵동,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는 서울시의 관료적이고 책임감 없는 태도와 성소수자 차별적인 행정 처리에 분노하며 다음과 같은 입장을 밝힙니다.

 

장수마을 마을박물관 전시는 2015한옥마을 및 한양도성 인근 마을 가꾸기주민 공동체 희망 사업 제안에 장수마을주민협의회가 다음 세대와 공유하는 성곽마을 장수마을의 가치라는 사업으로 공모에 응했고 최종 선정되어 진행되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장수마을주민협의회의 제안으로 마을 청소년 성소수자가 만나 다음 세대와 공유할 수 있는 가치를 담은 우리동네 무지개전시를 진행하려고 했습니다.

 

2015612일부터 73일까지 진행 예정이었던 우리동네 무지개전시는 전시기획을 완료하고, 포스터 홍보물을 제작하는 마지막 준비과정에서 서울시 주무부서로부터 포스터 디자인과 전시기획안을 제출하라는 요청을 받았습니다. 마을전시의 자율성을 침해하는 주무부서의 결정이 사전검열이라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었지만 전시개최가 임박해있었던 만큼 요청한 문서를 제출하였습니다. 하지만 서울시는 65일 장수마을주민협의회에 우리동네 무지개전시를 한옥마을 및 한양도성 인근 마을 가꾸기주민공동체 사업으로 지원할 수 없음을 통보해왔습니다.

 

68일 서울시 담당부서(주택건축국 한옥조성과 한옥문화팀 강승희 주무관)와 면담을 진행했습니다. 전시지원을 할 수 없다는 서울시 결정 사유가 무엇인지 묻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담당자는 애초 사업계획서 작성할 당시 성소수자라는 표현이 없었고, 장수마을 마을박물관 전시는 마을공동체 사업인데 어떻게 성소수자 관련 전시를 할 수 있는지 오히려 반문했습니다. 또한 사업담당자인 장수마을주민협의회와 협의할 테니 전시담당자들은 관여하지 말라는 뉘앙스의 이야기를 했습니다. 더 나아가 만약 성소수자 전시가 구체적으로 언급되어 있었다면 이 사업을 심사위원회에서 선정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했습니다. 면담에 참여했던 전시기획단체들은 서울시 담당자의 발언이 굉장히 문제적이고 차별적이라고 판단하고 서울시의 전시지원 불허 결정에 대한 이유를 공문을 통해 전달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하지만 이마저도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610일 주무부서 담당자와 전화통화를 하면서는 면담과정에 있었던 내용과 다를 바 없는 이야기를 반복하면서도 자신의 발언이 차별이라는 인식조차 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우리는 서울시의 관료적이고 성소수자 차별적인 태도에 매우 분노합니다. 첫째, 성소수자라는 단어를 문제시 삼으며 이 단어가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에 마을공동체 전시를 할 수 없다고 판단한 서울시 행정은 굉장히 차별적입니다. 전시기획이 사업계획서에 처음부터 드러나지 않았다고 했지만 총 4회 기획되어 있는 전시 그 어떤 것도 세부적인 전시기획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준비단체나 포괄적인 주제 정도를 언급하고 있을 뿐입니다. 둘째, 서울시가 전시가 준비되는 과정에 홍보물과 전시기획을 검토하고 지원여부를 결정한 태도는 마을 전시기획의 자율성을 침해하는 것입니다. 마을박물관을 책임지고 있고 전시주제를 직접 제안한 장수마을주민협의회가 충분히 가능하다고 제안한 전시기획이 서울시의 자의적인 판단으로 더 이상 진행될 수 없게 되었습니다. 성소수자 전시를 마을주민협의회와 소통하며 차근차근 준비해온 그 깊이 있는 고민에 찬물을 끼얹는 결정인 것입니다. 셋째, 마을공동체 마을민주주의를 강조하는 서울시가 마을공동체 사업에 성소수자는 포함되지 않는다는 발언을 한 것은 도저히 납득할 수가 없습니다. 심지어 성소수자라는 단어가 포함되어 있었다면 이 사업계획이 선정되지 않았을 거라는 말을 차별이라는 단어 말고 어떻게 설명을 할 수 있습니까. ‘성소수자는 마을의 구성원이 아니다라는 말과 무엇이 다릅니까.

 

지금까지 서울시는 그 어떤 해명자료도 내 놓지 않고 있습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이 요구합니다.

 

첫째. 장수마을에서 진행 예정이었던 청소년 성소수자 전시회우리동네 무지개가 주민공동체 희망사업으로 왜 진행될 수 없는지 그 이유에 대해 상세히 답변해 주십시오.

 

둘째. 서울시 주무부서와 면담과정에서 있었던 발언은 매우 관료적이고 차별적이었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마을공동체 사업으로 성소수자가 포함될 수 없다고 한 발언을 비롯해 마치 성소수자라는 단어가 포함된 사업계획서가 제출되었을 시 이 사업은 선정되지 못했을 것이라는 발언 모두 굉장히 큰 문제입니다. 서울시의 공식적인 사과를 요구합니다.

 

셋째. 무엇이 문제인지도 모르는 주무부서는 물론 마을공동체 사업을 담당하는 공무원들에게 성소수자 인권교육이 우선 시행되어야 함을 보여주는 사건사례라고 생각합니다. 사회적 약자, 소수자들의 인권을 우선해야 마을민주주의도, 마을공동체 사업도 더 풍성해질 수 있습니다. 사전검열방식으로 탁상에 앉아 마을의 고민을 담아내지 못한 서울시의 관료적인 태도는 시급히 개선되어야 합니다. 성소수자 인권교육을 조속히 시행하고, 이 사건에 대한 시정계획에 대해 말씀해주십시오.



 

2015616()

시민모임 즐거운교육상상, 청소년성소수자위기지원센터 띵동,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상담 및 인터뷰 요청 전 꼭 읽어주세요! 동인련 2010.05.12 85403
543 <성명서> 광우병 괴담 수사, 문제 있다 동인련 2008.05.07 6483
542 [성명] 제성호를 인권대사로 임명하는 정부에 인권은 없다. 동인련 2008.07.25 6415
541 [성명]영상물등급위원회는 청소년 보호를 빌미로 동성애혐오를 조장하는 <친구사이?> 청소년관람불가 판정을 시정하라! 동인련 2009.11.11 6414
540 [성명서] 대법원의 반인권적 군형법상 추행죄 판단 판결을 규탄한다! 동인련 2008.06.16 6367
539 [성명서] 대법원의 반인권적 군형법상 추행죄 판단 판결을 규탄한다! 동인련 2008.06.16 6345
538 [4월5일 기자회견문] 군형법 제92가 합헌이라면 대한민국 헌법은 위헌인가? file 동인련 2011.04.05 6327
537 [미쇠고기반대집회사법처리규탄_연대성명]경찰은 국민의 자유에 대한 자의적 판단과 처벌을 멈춰라 동인련 2008.05.06 6324
536 [기자회견문]홍준표 한나라당 원내대표를 포함한 국회는 죽음을 각오한 노동자들을 외면하지 마라 동인련 2008.08.04 6315
535 항의문] 마포레인보우주민연대의 현수막 게시는 당연한 권리, 마포구청의 현수막 수정 요청 및 게시 거부는 명백한 성소수자 차별이다! file 동인련 2012.12.07 6314
534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안(정부 발의안)]에 대한 인권시민사회단체 의견 동인련 2009.11.18 6306
533 [긴급성명] 백골단의 부활, 경찰기동대 창설을 규탄한다! 동인련 2008.07.30 6262
532 [인권단체연석회의 성명] 반인권적 국가인권위원 김양원은 즉각 퇴진하라! 동인련 2008.10.27 6232
531 경찰 공권력에 의한 여성 조합원, 인권활동가 성폭력 사태 규탄 및 책임자 처벌을 촉구한다 동인련 2009.09.09 6225
530 사실상 전면적인 집회금지 방침, 이명박 정권 규탄한다! 동인련 2009.05.22 6220
529 [국제 서명] “이명박 정부는 반민주적 탄압을 즉각 중단하라” 동인련 2009.12.10 6207
528 정부는 인권위의 무력화 시도를 중단하라! 동인련 2008.12.12 6186
527 그곳에 인권이 있다 UN - 세계인권선언 64주년에 부쳐 + 2012년, 인권활동가들이 뽑은 '올해의 인권 10대 뉴스' file 동인련 2012.12.10 6173
526 [에이즈치료중단 강요하는 검사비 부담전가 규탄 기자회견문] 1 나라 2009.07.20 6131
525 보도자료: 수동연세요양병원 에이즈환자 사망사건 초래한 복지부, 질병관리본부를 국가인권위에 진정 덕현 2013.10.10 6114
524 성소수자 차별반대 무지개 행동 출범 1년을 맞이하며 “이제 가파른 고개 하나를 넘었습니다.” 동인련 2009.05.18 610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1 Next
/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