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
성명 및 논평
Solidarity for LGBT Human Rights of Korea

1.jpg

 

 

[논평] 평창올림픽 개막에 부쳐- 우리는 모두를 위한 스포츠를 원한다.

 

 

 

평창올림픽이 개막한다. 우리는 누구도 차별받거나 배제당하지 않는 스포츠를 원한다.

 

올림픽이 국가 대결의 정치선전 장이자 대기업 자본 축제로 변질되었다는 말은 더이상 새롭지 않다. 삼수 끝에 얻은 평창올림픽 역시 우려와 비판이 크다.

 

평창 올림픽의 상흔은 크게 두드러졌다. 투기장으로 부상한 올림픽 개최지와 올림픽 예산은 국정농단에 놀아났다. 비리와 비정규직/노동자 차별로 심판받아야할 기업들은 올림픽 스폰서를 일임하며 이미지 세탁에 급급하다. 가리왕산 원시림은 알파인 스키장 건설 명목 아래 뿌리째 뽑혔다. 개막을 앞둔 최근에는 남북 평화올림픽가도 아래 여자아이스하키팀의 남북단일팀 구성을 하달 받다시피 했고, 쇼트트랙선수 폭행 은폐가 불거지기까지 했다. 철저한 자본과 국가주의 스펙터클 연출로 설명할 수밖에 없을 이번 올림픽은 반환경 투기의 정치선전장, 안일한 행정 속에 선수들을 국가이벤트의 명목 아래 희생시키는 행사로 얼룩지고 있다.

 

한편으로 올림픽은 정상성 이데올로기가 다시 한 번 작동하는 자리이기도 하다. 성별이분법의 규범은 선수의 성별여부를 가십과 논란대상으로 전락시키고, 경기 참여의 기준을 가른다. 선수들의 ‘건강한 몸’이 국가주의에 연결됨에 따라 보편적 복지는 승자중심의 순위게임 뒤로 미뤄지고, 선수 개개인의 훈련과 노고가 성공신화와 극복서사로 착색된다. 그 속에서 폭력과 배제는 쉽게 용인되고 은폐된다.

 

물어보자. 누구를 위한 올림픽이고, 누구를 위한 스포츠인가. 한국의 성소수자 역시 올림픽 개최를 반길수만은 없다. 지난해 동대문구 체육관과 시설관리공단은 퀴어여성네트워크가 주최하는 <퀴어여성 생활체육대회> 행사 대관을 불허했다. 장소측은 내부수리를 핑계 댔지만 여성 성소수자의 체육대회가 미풍양속에 어긋난다는 속내를 굳이 숨기지도 않았다. 생활체육의 저변부터 이럴진대, 이번 올림픽을 ‘평화올림픽’, ‘인권올림픽’으로 부르고 기억할 수 있을까.

 

흔히 올림픽을 ‘평화의 제전’이라 부른다. 행사기간동안 전쟁도 임시휴전할 만큼 세계적 관심과 영향력이 크다는 말일 것이다. 하지만 올림픽을 준비하기 전부터 행사를 진행하는 순간까지 올림픽을 위해 배제되고, 올림픽에 의해 검열되고 탈락되며 삭제당하는 존재들이 있다. IOC헌장의 올림픽 이념 기본 원칙은 '올림픽 헌장에 명시된 권리 및 자유는 인종, 피부색, 성별, 성적지향성, 언어, 종교, 정치적 또는 기타 의견, 민족 또는 사회적 출신, 재산, 출생 또는 기타 신분 등 어떠한 종류의 차별 없이 향유할 수 있도록 보장되어야 한다'고 규정한다. 하지만 오늘의 올림픽정신은 모두의 참여가 아니라, 검열과 배제, 폭력과 차별 위에 제 모습을 지탱하고 있지 않은가.

 

우리는 올림픽은 물론 여타 스포츠게임과 생활체육에 이르기까지 누구도 차별받고 배지되지 않는 스포츠를 원한다. 스포츠행사를 명목으로 파괴와 폭력이 자행되는 것을 반대하며 누구나 평등하게 즐길 수 있는 스포츠를 원한다. 인권은 스포츠와 동떨어져있지 않다. 이번 올림픽을 통해 평등의 스포츠 정신을, 인권의 보편적 가치를 다시금 되새길 수 있기를 바란다.

 

 

 

2월 9일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Commentary] To the Pyeongchang 2018 Olympic Winter Games, We Want Sports for All.

 

 

 

Pyeongchang 2018 Olympic Winter Games has dawned on us. And we want sports that will neither discriminate nor exclude.

 

It is not news that the Olympic games has become an arena for displaying participating nations’ political muscles, funded by multi-national conglomerates. Like its predecessors, the long awaited Pyeongchang Olympic Games is not without worries and criticisms.

 

The Pyeongchang Olympic Games has left flagrant scars since its conception. The culprits who monopolized governmental affairs in the previous years took advantage of the opportunity, turning the host city into a site for real estate venture investments and ransacking the budget for the games. The conglomerates plagued with corruption, labor discrimination, and endless outsourcing are evading public scrutiny by hastily laundering themselves as earnest sponsors of the games. Mt. Gariwang’s primeval forest was uprooted to build the alpine ski course. Just weeks before the commencement, the South Korean women’s ice hockey team were notified of a new roster, in an effort to create a combined women’s ice hockey team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in vain hopes for peace. The news of attempts to cover up an assault case in the short track speed skating team also broke out. This Olympic Games can only be described as a blockbuster carefully produced by the triad of nationalistic propaganda, capitalistic exploitation, and poor administrative execution. And all that pertains to the games have come at the sacrifice of environmental treasure and the expense of athletes.

 

On the other hand, the Olympics is a reenactment of the ideology of normalcy. To compete, one must fit either of the two genders, regulated by the IOC. Furthermore, this regulation of the gender binary brews gossip and controversies out of athletes’ sex and gender. By linking the athletes’ ‘healthy physique’ to nationalistic ideals, universal welfare is neglected over the collective winner-takes-all mindset. This mindset erases the athletes’ individuality, effort, and struggles and miscolors their stories to fit the cookie cutter hero’s arc of overcoming struggles and achieving success. In such broad stroke heroization, instances of violence and exclusion are tolerated and obscured.

 

Let’s ask ourselves this: who does the Olympic Games serve? And in large, who does the world of sports serve? The sexual minorities in South Korea cannot be so welcoming of the games this year. Last year, Dongdaemun-gu, a district of Seoul, disallowed renting of its gymnasium for <Queer Women Track and Field Day>, hosted by Queer Women Korea. The department in charge of renting gave a cursory excuse of internal renovations but also added that queer women congregating for a sporting event goes against Korean traditional customs. With a mere track and field day censored a few months ago, it is skeptical whether the Pyeongchang Olympic Games can be honored as one that upheld peace and the values of human rights.

 

We often hear the Olympics Games called ‘festival of peace,’ probably referring to how the games garner much international interest and influence enough to enact temporary truce of wars. However, there are people deliberately excluded, censored, disqualified, and effaced from the planning stages of the games till the very moment of its execution. The 6th clause of Fundamental Principles of Olympism reads: “The enjoyment of the rights and freedoms set forth in this Olympic Charter shall be secured without discrimination of any kind, such as race, colour, sex, sexual orientation, language, religion, political or other opinion, national or social origin, property, birth or other status.” On the contrary, current day Olympism is precariously balancing itself on top of censorship, exclusion, violence, and discrimination, rather than bolstering a universal access to the right to participate and enjoy.

 

We want sports for all, from the Olympics to other international, national, and local sporting events, and to local track and field days. We want sports that won’t discriminate or exclude; that won’t condone destruction and violence for the sake of a sporting event; that any and everyone can enjoy. Human rights and sports are not far-fetched from one another. We hope that the Pyeongchang 2018 Olympic Winter Games can once again remind the universality of human rights and the equality inherent to sportspersonship.

 

 

 

2018/02/09
Solidarity for LGBT Human Rights of Korea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상담 및 인터뷰 요청 전 꼭 읽어주세요! 동인련 2010.05.12 85412
225 [성명서] “국회는 대한문 앞에서 벌어지는 불법 사태와 인권침해에 대한 경찰 책임 엄중히 물어야 한다” 덕현 2013.10.17 3790
224 [성명서] 국가인권위원회의 부실화를 부추기는 무자격, 반인권 인사의 임명에 반대한다. 웅- 2015.01.09 1441
223 [성명서] 대법원의 반인권적 군형법상 추행죄 판단 판결을 규탄한다! 동인련 2008.06.16 6367
222 [성명서] 대법원의 반인권적 군형법상 추행죄 판단 판결을 규탄한다! 동인련 2008.06.16 6345
221 [성명서] 동성애자 병사가 경험한 끔찍한 인권침해 사건 진정을 기각한 국가인권위원회를 규탄한다!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17.01.13 621
220 [성명서] 미네르바 구속은 표현의 자유에 대한 유죄를 인정한 것이다 동인련 2009.01.16 7921
219 [성명서] 사람을 철거한 자리에 세운 송전탑, 한국전력 사장 조환익은 산업자원부 장관 자격 없다.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17.06.13 395
218 [성명서] 성소수자의 부모와 가족들은 퀴어문화축제의 성공적인 개최를 원합니다. file 모리 2015.06.22 955
217 [성명서] 성평등한 민주주의는 시대적 요구이다- 서로를 지지하며 연대를 바탕으로 성평등한 사회를 만들자 file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18.03.03 252
216 [성명서] 인권을 휴지통에 버릴 것이냐! 서울학생인권조례 개악 시도는 중단되어야 한다. 덕현 2014.02.14 2790
215 [성명서] 창원시 HIV감염 여성에 대한 마녀사냥을 멈춰라!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17.06.13 1350
214 [성명서] 카이스트 부총학생회장 후보자 한성진님의 커밍아웃을 지지합니다. file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16.12.06 980
213 [성명서] 트랜스젠더에 대한 병역면제취소처분의 위법성을 인정한 판결을 환영하며 - 병무청은 트랜스젠더에 대한 인권침해적 병역처분 관행을 즉시 시정하라! 동인련 2015.02.02 1621
212 [성명서] 혐오세력에게는 불관용이 정답이다 - 제 15회 퀴어퍼레이드에 부쳐 웅- 2014.06.12 2457
211 [성명서]민주주의를 부정하는 헌법재판소의 통합진보당 해산 결정을 규탄한다 병권 2014.12.19 1753
210 [성명서]밀양 단장면 용회동 박00 주민을 석방하라 덕현 2013.10.17 3851
209 [성명서]성소수자 인권재단 법인설립 허가를 거부하는 법무부 ‧ 서울시 ‧ 국가인권위원회를 규탄한다 동인련 2015.03.04 1337
208 [성명서]정부의 대국민 전면전 선포를 규탄한다 - 정부의 대국민담화문에 대한 인권단체 입장 및 경찰폭력 규탄 동인련 2008.06.30 7472
207 [성명서]혐오를 선동하며 성소수자 인권 운동을 공격한 KBS 이사 조우석은 사퇴하라! 성소수자 운동은 시민사회와 연대하며 혐오선동과 마녀사냥에 단호하게 맞설 것이다.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15.10.15 2012
206 [성소수자노동권팀 성명] 35년 해고 노동자 김진숙을 일터로 file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0.12.15 168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31 Next
/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