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
성명 및 논평
Solidarity for LGBT Human Rights of Korea

 

                                       [성명]'청정'해야 할 것은 질병이 아니라 질병에 대한 혐오다.
                                       (사)대한에이즈예방협회 제 11대 회장 윤해영의 취임에 부쳐,
 
 
 
 
 

 


‘에이즈 없는 청정 한국 선포식’. (사)대한에이즈예방협회 제 11대 회장 윤해영의 취임식 캐치프레이즈다. 귀를 의심하게 만든다. 질병 없는 사회, 질병 퇴치를 위한 목적을 두고 ‘청정’ 운운하는 고릿적 수사를 2019년 한국사회에서 다시 듣게 되었다. 

‘청정’을 표명한 것인즉, 질병이 더럽다는 뜻이렷다. 이는 곧 이 사회의 구성원인 HIV감염인과 AIDS환자, HIV/AIDS 당사자 모두를 씻어내고 퇴치해야 할 오염물로 취급하고 있다. 

말꼬리 잡는다고 생떼 쓰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좋다. ‘청정’의 계보를 찾아보자. ‘에이즈 없는 청정 한국’ 따위의 표현을 사용한 이는 그가 처음이 아니다. 이미 염안섭 수동연세요양병원 원장을 비롯한 소위 동성애 혐오 인사들이 에이즈 혐오를 빗대어 ‘에이즈 청정국가’를 운운한 바 있다. 그리고 당시 대한노인요양병원협회장을 맡은 윤해영은 성소수자 혐오인사 염안섭 수동연세요양병원 원장을 두둔하며 2014년 방영된 ‘KBS 추적 60분’의 ‘얼굴없는 사람들-AIDS환자의 눈물’의 내용에 대해 항의했다. 

‘청정’은 단어의 의미상 더럽고 치워버려야 하는 존재를 상정한다. 그는 제 치세를 위해 HIV/AIDS 당사자들을 던져버려야 할 더러운 것으로 취급한다. 그러지 않고서 ‘청정’의 표현은 이렇게 쓰일 수 없다. 어떻게 명색이 대한에이즈예방협회 신임 회장이라는 자가 질병을 두고 ‘청정’을 갖다 붙인단 말인가. 명색이 대표라는 자가 제 소관의 질병을 단순 삭제할 대상으로 보는 것은 아닌가. 이는 아픈 이를 지원해야 하는 제 역할을 망각한 태도이다. 

그가 수장에 임명된 대한에이즈예방협회는 ‘에이즈와 함께하는 건강한 세상’을 미션으로 둔다. 더욱이 저들은 ‘에이즈 예방 및 감염인 지원 분야에서 창의적이고 질 높은 서비스를 창출하는 최고의 기관’을 비전으로 표명하며, ‘에이즈 예방과 감염인 및 환자의 권익을 옹호하고 복지를 증진’한다고 할 만큼 질병당사자를 최우선 삼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새로 오른 수장이 ‘에이즈 청정’ 운운하는 것은 기만이다. 질병 당사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제 본분을 상실한 작태이다. 아니, 그의 언급은 수장으로 취임한 이가 제 단체를 모독한 행위다. 그로 하여금 ‘에이즈 청정 한국’ 운운하도록 방관한 협회의 상위기관인 질병관리본부와 보건복지부는 이에 대한 견제와 모니터링도 하지 않고 무엇을 했단 말인가. 어떻게 혐오발언을 입에 올리는 이를 질병예방기관의 수장으로 임명할 수 있단 말인가. 이는 그만의 문제일 뿐 아니라 혐오선동을 제어하고 인권의 가치를 알려야 하는 기관과 국가의 무책임을 보여준다. 

그는 제 취임식에 ‘에이즈 예방과 차별 편견을 해소하기 위해 애쓰시는’ 이들을 초대했다. 설마 그가 초대한 이들까지도 ‘질병 없는 청정’ 영역을 바라고 있을까. 질병당사자의 존재를 절멸하는 표현을 쓰는 이가 대표에 임명되기를 바라고 있었을까. 

대한에이즈예방협회는 에이즈로 고통받고 소외받는 모든 사람들을 환대하는 정신을 기본으로 삼는다. 이에 신임 대표 윤해영은 질병을 두고 ‘청정’ 운운한 데 대해 해명해야 할 것이다. 질병의 반대말에 ‘청정’을 가져다 붙인 작태는 질병을 얼마나 혐오하고 있는지 보여줄 뿐이다. HIV감염인, 에이즈환자 등 HIV/AIDS 당사자들은 모두 ‘사람’으로 이 사회에 존재한다. ‘청정’이라는 표현으로 사람의 존재를 훼손하는 대한에이즈예방협회 신임회장 취임식은 영원히 부끄러운 과오로 남을 것이다. 우리는 대한에이즈예방협회가 그 역사와 미션 가치에 걸맞는 모습을 유지하길, 되찾길 바란다. 

 
 
 
 

 


                                                                   2019년 3월 12일
 

 


                                                           HIV/AIDS인권활동가네트워크
(한국HIV/AIDS감염인연합회 KNP+ / HIV/AIDS인권연대 나누리+ / 러브포원 / 대학성소수자모임연대 QUV / 레드리본사회적협동조합 / 에이즈환자 건강권보장과 국립요양병원마련을 위한 대책위원회 / 성적소수문화인권연대 연분홍치마 / 장애여성공감 / 정의당 성소수자위원회 / 한국게이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 / 한국게이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 PL모임 ‘가진사람들’ / 한국청소년‧청년감염인 커뮤니티 ‘알’ /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상담 및 인터뷰 요청 전 꼭 읽어주세요! 동인련 2010.05.12 85403
343 [무지개행동 성명] 평등으로 한껏 더 나아가자 - 국가인권위원회의 평등법 제정 의견표명을 환영한다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0.07.07 56
342 [무지개행동 성명] 평등을 위해 싸워온 그리고 이 사회를 살아가는 모든 성소수자의 이름으로, 함께 평등을 꽃피우자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2.04.14 53
341 [무지개행동 성명]성소수자 혐오선동에 굴하지 않겠다. 인권의 지평을 넓히기 위한 싸움은 이제부터 시작이다.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17.09.18 165
340 [무지개행동 성명]이성호 국가인권위원장 후보자는 인권을 논할 자격이 없다 박근혜 대통령은 이성호 국가인권위원장 후보자 내정을 철회하라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15.07.31 1090
339 [무지개행동 성명]혐오와 합의할 수 없다. 더불어민주당은 더 이상 혐오에 손내밀지 말고 차별금지법을 제정하라 - 11월 25일 더불어민주당 평등법(차별금지법) 토론회에 부쳐 -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1.11.23 37
338 [무지개행동, 가구넷 공동 논평] 국회 최초의 생활동반자법 발의를 환영하며, 나아가 평등권 실현을 위하여 성소수자를 배제하는 혼인제도를 개정할 것을 촉구한다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3.04.26 113
337 [무지개행동] 낙태죄 완전 폐지 성소수자 선언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0.11.04 209
336 [무지개행동] 서울시 주민제안사업마저 훼손하려고 하는가. - ‘청소년 무지개와 함께’ 지원센터는 더 많은 곳에 설립되어야 한다! - 동인련 2013.07.04 5503
335 [무지개행동·차제연 공동성명] 보수개신교와 야합한 박홍근, 이승환 두 후보의 혐오발언 강력히 규탄한다. 제22대 총선 우리는 평등에 투표할 것이다. file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4.04.01 58
334 [무지개행동성명]유엔 12개 기구의 성소수자 권리에 관한 공동성명 환영한다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15.10.02 991
333 [미디어논평] 질병을 둘러싼 과도한 접근은 공익을 저해할 뿐 file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2.07.03 158
332 [미디어모니터링 논평] 공영방송은 저열한 트랜스 혐오 선동을 멈춰라 - 1월 25일자 MBC <생방송 오늘아침> 방송에 부쳐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1.01.28 206
331 [미쇠고기반대집회사법처리규탄_연대성명]경찰은 국민의 자유에 대한 자의적 판단과 처벌을 멈춰라 동인련 2008.05.06 6324
330 [민원 ]문형표 장관님, HIV/AIDS감염인과의 면담을 요청드립니다. 웅- 2014.11.24 1323
329 [발언문] 가족구성권 3법 발의 기자회견 - 혼인평등 당사자 발언 (소성욱&김용민 부부) file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3.05.31 171
328 [변하사공대위 성명] 군사망사고진상규명위원회의 변희수 하사 사망사건 직권조사 개시 결정을 환영한다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1.12.14 304
327 [변하사공대위 성명] 변희수 하사 강제전역 사건에 대한 국방부, 육군본부의 국가인권위원회 권고 불수용 결정을 규탄한다. file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1.05.12 57
326 [보도자료] 관심병사 관리보다 더 중요한 것은 성소수자들에게도 안전한 군대를 만드는 것 - 동반 자살한 28사단 병사들을 추모하며 - 정욜 2014.08.14 2615
325 [보도자료] 당신의 인권이 여기에 있다- 6일간의 서울시청 점거농성을 마무리하며 웅- 2014.12.11 1295
324 [보도자료] 반복되는 에이즈환자 수술거부, 국가인권위에 진정하다 병권 2014.11.11 2345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31 Next
/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