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
성명 및 논평
Solidarity for LGBT Human Rights of Korea

 

60959632_1246458525528598_7270477607391461376_n.jpg

 

 

 

 

 

오늘 2019년 5월 24일 대만의 동성커플들은 마침내 전국의 관공서에서 혼인신고를 할 수 있게 되었다. 이같은 행정적 변화는 2017년 5월 24일 사법원의 헌법 해석 결정을 이행한 지난 5월 18일 대만 입법원의 입법 결과이다. 성소수자 가족구성권 보장을 위한 네트워크(이하 ‘가구넷')은 대만의 아시아에서의 첫번째 동성결혼 법제화를 환영하며 대만 내 뿐만 아니라 아시아의 성소수자 평등을 위한 대만 사법부, 입법부, 행정부의 한 걸음, 이를 가능케 한 수십년간 커뮤니티와 활동가들의 노력, 그리고 다양성을 받아들이는 대만 국민의 성숙함에 찬사를 보낸다.

이렇게 동성 간에도 혼인제도의 접근이 가능해지는 것, 즉 성중립적인 결혼 혹은 혼인평등은 중대한 기본적 권리일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거스를 수 없는 추세로 이제 27개국 45개 법관할에서 가능하다. 세계는 대만의 민주주의와 인권의 수호에 찬사를 보내며 대만 사회의 진보성에 주목하고 있다.

그렇다면 아시아 민주주의의 모범이라는 한국은 어떠한가. 한국에서 혼인평등의 논의는 사법부의 거절, 입법부의 무응답, 행정부의 무대책 하에, 철저하게 법 바깥에 놓여있다. 한국의 성소수자는, 배우자가 아플 때 보호자의 역할을 하고, 간호를 위해 휴직을 하거나 업무시간 조정을 청구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배우자와의 이별이 삶의 근간을 흔들지 않도록 하는 것, 배우자가 사망했을 때 그의 장례를 주관하고 애도의 시간을 나눌 수 있도록 하는 것, 그리고 이 모든 권리를 보장하는 제도에서 배제되어 있다는 사실로 인해 불필요한 슬픔과 고통들을 겪지 않도록 하는 것, 이 모든 상황에서, 배우자가 동성이라는 이유로 인간의 기본적 권리들을 부정받고 있다. 

우리는 오늘 대만 국민들의 환희의 눈물과 상기된 표정을 본다. 대만 국민은 평등한 혼인이라는 구체적인 권리 뿐만 아니라 성소수자가 평등한 시민으로 여겨지는 자랑스러운 나라에서 살고 싶다는 염원을 이루었다. 물론 대만의 여정도 간단하지는 않았으며 일부 반동과 후퇴도 있었다. 그러나 대만은 사회로서 대화와 전진의 노력을 멈추지는 않았다.

우리는 한국에서 환희 속에 무지개 깃발을 흔들며 서로를 부둥켜 안을 수 있는 그 날을 갈망한다. 이를 하루라도 앞당기기는 것은 이 땅에 사는 우리 모두의 시민적 의무이다.

 

 


2019. 5. 24.
성소수자 가족구성권 보장을 위한 네트워크

 

 


  1. [공지] 상담 및 인터뷰 요청 전 꼭 읽어주세요!

    Date2010.05.12 By동인련 Views85412
    read more
  2. 반인권 행사 ‘탈동성애인권포럼’에 장소 제공한 국가인권위원회를 규탄한다

    Date2015.03.19 By동인련 Views1927
    Read More
  3. 중국 정부는 구금된 페미니스트․LGBT 활동가 5명을 즉각 석방하고 페미니스트∙LGBT 활동가와 사회운동에 대한 탄압을 중단하라!

    Date2015.03.18 By이주사 Views1412
    Read More
  4. 3.8 세계여성의날을 맞이하며 - 자유롭고 평등한 삶을 위해 싸운 여성들을 기억하고 차별과 혐오에 맞서 연대하자

    Date2015.03.05 By동인련 Views1342
    Read More
  5. [성명서]성소수자 인권재단 법인설립 허가를 거부하는 법무부 ‧ 서울시 ‧ 국가인권위원회를 규탄한다

    Date2015.03.04 By동인련 Views1337
    Read More
  6. [성명서] 트랜스젠더에 대한 병역면제취소처분의 위법성을 인정한 판결을 환영하며 - 병무청은 트랜스젠더에 대한 인권침해적 병역처분 관행을 즉시 시정하라!

    Date2015.02.02 By동인련 Views1621
    Read More
  7. 수동연세요양병원의 사실왜곡에 대한 입장표명 및 법적대응 기자회견

    Date2015.01.22 By웅- Views3064
    Read More
  8. <성 명> 쇄신보다는 시민사회를 비난하는 인권위에게 제 역할을 기대하기 어렵다- 현병철 위원장은 A등급의 국가인권기구 수장 자격이 있는지부터 돌아봐야

    Date2015.01.15 By웅- Views1915
    Read More
  9. [성명서] 국가인권위원회의 부실화를 부추기는 무자격, 반인권 인사의 임명에 반대한다.

    Date2015.01.09 By웅- Views1441
    Read More
  10. 서울시 주민참여예산사업 <청소년무지개와 함께 지원센터> 사업예산 불용 및 경찰폭력 규탄 기자회견문

    Date2015.01.05 By웅- Views1904
    Read More
  11. [기자회견문] 서울시 주민참여예산사업 <청소년 무지개와 함께 지원센터> 불용위기에 부쳐 인권도시 성북은 죽었는가?

    Date2014.12.31 By병권 Views1775
    Read More
  12. 9인의 헌법재판관들에게, 헌법재판소의 존재를 묻는다!

    Date2014.12.22 By병권 Views1557
    Read More
  13. [성명서]민주주의를 부정하는 헌법재판소의 통합진보당 해산 결정을 규탄한다

    Date2014.12.19 By병권 Views1753
    Read More
  14. [보도자료] 당신의 인권이 여기에 있다- 6일간의 서울시청 점거농성을 마무리하며

    Date2014.12.11 By웅- Views1299
    Read More
  15. 성소수자 혐오와 차별에 맞서 서울시청 무지개 점거농성에 돌입하며

    Date2014.12.07 By덕현 Views1365
    Read More
  16. [규탄성명] 청소년 성소수자는 서울시 기관을 이용할 자격이 없는가! 정당한 이유 없는 대관 불허는 명백한 차별이다!

    Date2014.12.05 By정욜 Views4355
    Read More
  17. 박원순 서울시장은 시민위원회의 결정을 묵살하려 하는가? 「서울시민 인권헌장」을 조속히 선포하라!

    Date2014.12.01 By덕현 Views1579
    Read More
  18. [보도자료] 서울시민인권헌장 제정 시민위원회의 결정 환영 및 서울시의 입장에 대한 유감 표명

    Date2014.11.29 By병권 Views1851
    Read More
  19. [민원 ]문형표 장관님, HIV/AIDS감염인과의 면담을 요청드립니다.

    Date2014.11.24 By웅- Views1327
    Read More
  20. [보도자료] 반복되는 에이즈환자 수술거부, 국가인권위에 진정하다

    Date2014.11.11 By병권 Views2349
    Read More
  21. <성명> 인권위법과 ICC 권고에 어긋난 인권위원 임명이 웬 말이냐! 동성애 차별 발언과 차별금지법 거부한 최이우는 사퇴하라!

    Date2014.11.10 By병권 Views185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31 Next
/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