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
성명 및 논평
Solidarity for LGBT Human Rights of Korea

photo_2020-06-19_21-02-28.jpg

 

 

[6월 20일 세계 난민의 날 논평] 우리의 연대는 경계를 부순다. 변화를 위한 환대에 동참하자. 

 

 

 

수년 전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는 메일을 통해 성소수자 난민의 갈급을 마주했다. 당시 난민 지원 경험이 전무했던 활동가들은 국내외 난민제도를 찾아보고 난민단체와 기관들을 수소문하며 잠시라도 운신할 수 있는 숙소와 도움을 줄 수 있는 자원들을 찾아 나섰다. 좌충우돌과 시행착오를 반복하며 체감한 것은 난민이 사회에서 갖는 위상뿐 아니라 생존의 조건까지도 위태롭고 취약하게 구축되고 있다는 점이었다. 특히 성소수자와 HIV/AIDS감염인 난민의 경우 난민을 향한 차별뿐 아니라 성소수자와 HIV감염인을 향한 혐오와 배제가 어떻게 일상의 곳곳에 침투하고 있는가를 알게 되었다. 

 

본국의 박해뿐 아니라 가족과 이웃들마저 폭력을 가하는 상황 속에서 이들에게 고향을 떠나는 것은 살아남기 위한 선택일 수밖에 없다. 한국을 왔지만 오고 싶어 선택한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당도한 비호국 역시 안전을 보장하지 않았다. 

 

소수자와 난민을 향한 편견과 낙인은 심사과정에도 작동한다. 심사관은 당신이 탈출을 선택하기까지 견뎌온 박해의 경험을 묻기보다 언제, 왜 성소수자가 되었냐는 질문을 하고 성소수자 난민들은 돈 벌러 온 것은 아닌지, 숨기고 살아도 될텐데 굳이 자국을 떠나야 했냐는 불신 가득한 물음에 답해야 했다. 언제 어떻게 마무리될지 모를 체류기간 동안에도 소수자 난민은 가시방석을 떠나기 어렵다. 지원기관과 자국 커뮤니티에서 성소수자로서 자신을 드러낸다는 것은 공동체에서 어떤 위협을 당할지 모르기에 긴장을 놓을 수 없다. 일터를 비롯한 일상에서 부당한 대우를 받기가 부지기수지만 이들은 자신의 의견을 내세우면 불이익을 당하지 않을까 걱정하며 정당한 권리조차 요구하기 어렵다. 

 

삶을 견딜 수 있는 연결의 끄나풀마저 보이지 않는 상황에 놓이고 싶은 이는 누구도 없다. 하지만 나의 이야기를 들어줄 이 없고 언어도 통하지 않으며 편히 누울 데 없이 언제 사라져도 모를 위기는 항상 소수자 난민의 옆을 떠나지 않는다. 

 

당사자들과 위기를 타개할 방법을 찾으며 난민 인권활동가들과 성소수자 인권활동가들이 만나는 과정 속에서 2017년 소수자난민인권네트워크가 출범했다. 소수자난민에게 필요한 의료적 지원을 연결시켜주고 쉼터를 확보하는 과정은 한국사회가 얼마나 국민과 비국민, 정상과 비정상을 나누는 제도가 뼛속 깊이 박혀있는가를 고스란히 보여줬다. 하지만 동시에 타인의 삶을 지지하는 노력은 그들의 이야기를 듣고 곁을 자처하며 함께 싸우는 것뿐만이 아니라, 낯선 이의 두드림에 그동안 닫혀왔던 세계의 지평을 열어내는 경험이기도 했다. 그것은 같이 싸우는 이들을 만나고 함께 공부하며 문제를 찾아 변화를 이끌어내는 과정을 수반한다. 

 

사회적 소수자의 인권을 요구하는 것은 단지 당사자의 권리를 확보하고 제도적 인정을 받기 위함만은 아니다. 오히려 소수자 난민의 문제는 국가주의 뿐 아니라 인종차별과 성소수자 차별을, 계층과 계급, 빈곤의 문제를 드러낸다. 이는 곧 난민 당사자뿐 아니라 누구라도 살아가면서 규범에 어긋난다는 이유로 고립되고 차별받으며 사회로부터 삭제당하지 않도록 인식 변화와 제도적 지원을 강구하라는 집단적 행동을 모색하고 실천할 것을 요청한다. 

 

우리는 오랜시간 서로의 안전을 도모하는 가운데 타인과 함께 살아갈 수 있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배제적이고 차별적인 제도와 인식들을 변화시켜나가는 활동들을 도모해왔다. 그 중에서 다른 이들이 소수자 난민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은 무엇보다 중요할 활동이다. 서로의 삶을 지지하며, 안전이 보장될 수 있도록 사회를 변화시켜온 우리의 투쟁은 지지와 연대를 요청한다. 그것은 함께 살아갈 수 있기 위한 제도적 변화와 더불어 누구라도 아프거나 위기에 당면할때  지원받을 수 있는 자원의 확보를 포함한다. 

 

6월 20일 행성인은 난민의 날을 맞아 안전과 변화를 위한 보다 큰 저항과 연대를 다짐한다. 성소수자와 HIV/AIDS감염인 난민, 장애인, 비정규직 노동자와 가난한 이들, 국가가 규정하고 인정하는 국민의 기준에 어긋나고 미끄러지는 이들이 함께 서로의 삶을 지탱하며 살아갈 수 있는 사회를 만들어내기 위해 연대하고 싸울 것이다. 소수자 난민이 안전을 보장받으며 자신의 정당한 권리를 주장할 수 있도록 변화를 위한 환대에 동참하자. 우리의 연대는 경계를 부순다.    



 

6월 20일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상담 및 인터뷰 요청 전 꼭 읽어주세요! 동인련 2010.05.12 85820
66 정부는 유엔 사회권위원회의 권고를 성실히 이행하라. (성적지향 등이 삭제된 채 폐기된 정부 원안) 차별금지법 관련 유엔 사회권위원회 한국 정부 답변에 대한 비판 file 동인련 2009.11.25 7081
65 인권침해 반성없는 정부를 규탄한다.- UN 사회권 심의에서 보여준 정부의 천박한 인권의식 - 동인련 2009.11.18 5300
64 더 이상의 최악은 없다. 법원의 현명한 판단을 바란다. -왜 글리벡 약값은 A7조정가여야 하는가? 동인련 2009.11.18 5575
63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안(정부 발의안)]에 대한 인권시민사회단체 의견 동인련 2009.11.18 6332
62 [성명]영상물등급위원회는 청소년 보호를 빌미로 동성애혐오를 조장하는 <친구사이?> 청소년관람불가 판정을 시정하라! 동인련 2009.11.11 6431
61 [아프간재파병반대연석회의]11.14 반전평화행동의 날 집회 불허를 규탄한다 file 동인련 2009.11.11 5880
60 [성명]국민여론 외면한 아프간 재파병 결정 당장 철회하라 동인련 2009.11.04 5253
59 용산참사 피고인들에 대한 법원의 선고는 제2의 사법살인이다! 동인련 2009.10.30 5297
58 [긴급 성명] 이명박 정부의 아프가니스탄 재파병 시도 반대한다 동인련 2009.10.28 5280
57 [성명] 공공의 이익을 위한 정부사용 강제실시를 현실화하는 특허법 개정을 지지한다! 동인련 2009.09.17 5855
56 경찰 공권력에 의한 여성 조합원, 인권활동가 성폭력 사태 규탄 및 책임자 처벌을 촉구한다 동인련 2009.09.09 6252
55 반인권적 발언을 쏟아내는 인사는 한시라도 국가인권위원장 자리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동인련 2009.08.12 6005
54 표현의 자유가 없는 광화문광장은 서울시의 정원일 뿐이다 동인련 2009.08.03 5555
53 무자격/도둑취임/MB 하수인 현병철 국가인권위원장 반대 ‘쌍용자동차 사태에 대한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 긴급 성명’을 비판하는 ‘국가인권위 제자리 찾기 공동행동’ 성명서 동인련 2009.07.28 7383
52 [긴급성명] 쌍용 노동자와 가족을 죽음으로 몰아가는 사측과 정부를 규탄한다! 동인련 2009.07.20 6535
51 [에이즈치료중단 강요하는 검사비 부담전가 규탄 기자회견문] 1 나라 2009.07.20 6158
50 안경환 국가인권위원장 사퇴는 이명박 정권의 국가인권위에 대한 정치적 탄압의 결과이다. 동인련 2009.07.02 6570
49 사실상 전면적인 집회금지 방침, 이명박 정권 규탄한다! 동인련 2009.05.22 6243
48 침묵의 사회를 강요하는 이명박 정부, 집회 시위의 자유를 짓밟는 경찰을 규탄한다 동인련 2009.05.19 6509
47 성소수자 차별반대 무지개 행동 출범 1년을 맞이하며 “이제 가파른 고개 하나를 넘었습니다.” 동인련 2009.05.18 6136
Board Pagination Prev 1 ...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Next
/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