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
성명 및 논평
Solidarity for LGBT Human Rights of Korea

2023_가시화의날.png

 

[성명] 삶이 투쟁이 되지 않기를 - 3월 31일 트랜스젠더 가시화의 날을 맞이하여

 

매년 3월 31일은 트랜스젠더 가시화의 날입니다. 우리는 투쟁이 일상인 삶을 살아왔습니다. 병원, 학교, 일터, 그리고 화장실처럼 많은 이들에게 일상적인 공간이 우리에게는 투쟁의 현장입니다. 2023년 2월 21일, 법원은 ‘누구나 어떤 면에서는 소수자일 수 있다’, ‘소수자에 속한다는 것은 다수자와 다르다는 것일 뿐, 그 자체로 틀리거나 잘못된 것일 수 없다’라며 동성부부 피부양자 자격을 인정했습니다. 판결문의 내용은 성소수자뿐 아니라 많은 시민들에게 울림을 남겼습니다. 우리는 조금 다른 존재일 뿐입니다. 틀리거나 잘못된 존재가 아닙니다. 그럼에도 우리는 법과 제도는 물론, 일상 속 차별과 혐오에 맞서 투쟁하며 살아왔습니다. 우리는 트랜스젠더가 투쟁하며 살지 않고, 평범하게 살아갈 수 있는 세상을 위한 다양한 사회적 변화를 요구합니다.  

 

 

트랜스젠더의 인권을 존중하는 성별정정특별법을 제정하라.
 2023년 3월, 법원은 “당사자의 의사에 반하는 성전환수술 강제가 개인의 존엄을 침해하므로, 수술이 아닌 다른 요건에 의하여 그 사람의 성 정체성을 판단이 가능하다면 그에 의하여 성 정체성을 판단하면 된다”며 비수술 트랜스젠더 성별정정을 허가했습니다. 이러한 판결에도 불구하고 트랜스젠더가 저마다 자신이 정체화 한 성별대로 인정받고 살아갈 수 있도록 지지하고 지원하는  법은 부재합니다. 지금의 성별정정제도 안에서 트랜스젠더는 자신의 성별을 법원과 담당 판사에게 증명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호르몬과 수술 등 의료적 조치를 요구받기도 합니다. 의료적 조치는 보험 적용이 되지 않아 과도한 비용을 필요로 하며, 이는 경제적 어려움으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특히 본인의 의사와 상관 없이 수술을 요구하는 대법원의 예규는 트랜스젠더의 건강을 위협하며, 재생산권을 박탈합니다. 부당한 성별정정 요건을 완화한, 트랜스젠더의 존엄을 존중하는 성별정정특별법 제정을 촉구합니다.

 

 

차별과 배제 없이 배우고 일할 권리를 보장하라.
 법적 성별을 정정하더라도 정정된 성별로 보이지 않는다는 이유로, 혹은 정정을 했다는 이유만으로 트랜스젠더는 학교에서, 직장에서 차별받고 배제당하고 있습니다. 배우고 일하는 것은 생존에 필수적인 사회활동입니다. 다르다는 이유로 배우고 일할 권리를 박탈당하는 것은 부당합니다. 

 

 우리는 차별 없이 배울 수 있어야 합니다. 2020년, 트랜스젠더 여성 A씨가 숙명여대의 문을 두드렸습니다. 하지만 학내외의 혐오와 반대에 부딪혔고 결국 입학을 포기하기에 이르렀습니다. 세계인권선언 제26조 1에서는 모든 사람은 교육받을 권리를 가진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숙명여대 A씨 사건이 그러했듯, 트랜스젠더는 교육받을 권리를 박탈당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차별과 배제 없이 일할 수 있어야 합니다. 2020년 1월 20일, 대한민국의 군인 변희수 하사는 기자회견에서 자신이 성확정 수술을 했고, 트랜스젠더 군인으로서 군 복무를 이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변희수 하사가 원했던 것은 온전한 자신으로 일할 권리였습니다. 하지만 군은 변희수 하사의 성확정 수술을 이유로 강제 전역시켰습니다. 당당하게 자신의 존재를 드러냄으로써 성소수자 커뮤니티의 큰 희망과 용기가 되었던 변희수 하사는 결국 안타깝게 세상을 떠났습니다. 세계인권선언 제23조 1에서는 모든 사람은 일, 직업의 자유로운 선택을 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우리는 변희수 하사를 기억하며, 트랜스젠더라는 이유로 일터에서 차별받는 일이 일어나지 않는 사회를 향해 나아갈 것입니다.

 

 

불필요한 성별 정보 표기를 없애라. 
 트랜스젠더는 관공서, 병원, 은행, 보험사나 카드사 같은 본인 인증을 필요로 하는 곳에서 법적성별과 드러나는 성별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차별과 혐오를 겪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당사자들은  당장 필요한 의료적 처치, 생존에 필수적인 경제활동, 일상적인 사회생활을 스스로 제한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차별적인 현실을 바꾸기 위한  인식 교육과 제도 개선의 방안은 아직 논의조차 되지 않고 있습니다. 불필요한 성별정보를 요구하는 지금의 제도와 관행은 개선되어야 합니다. 

 

 우리는 언제쯤 투쟁 없는 일상을 살아갈 수 있을까요? 우리는 트랜스젠더로서 평범하게 살아갈 수 있는 세상을 원합니다. 모든 트랜스젠더가 평범한 일상을 누리는 날까지 우리는 모두의 평등한 권리를 위해 멈추지 않을 것입니다. 삶이 투쟁이 되지 않는 세상을 위해 나아갈 것입니다. 

 


2023년 3월 31일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상담 및 인터뷰 요청 전 꼭 읽어주세요! 동인련 2010.05.12 85820
368 [성명] 한양대학교 LBGT 인권위원회 설치에 대한 총투표 실시에 반대합니다. 동인련 2011.12.05 5360
367 [성명] 한국의 성소수자들은 미얀마의 군부 쿠데타를 규탄하며 민주주의를 위해 투쟁하는 민중들을 지지하고 연대합니다. file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1.03.19 13889
366 [성명] 필요한 약은 주지 않고 안전하지 않은 쇠고기는 강제로 먹이려는 이명박 정권을 강력히 규탄한다! 동인련 2008.05.30 7180
365 [성명] 포괄적 차별금지법 21대 국회 발의를 환영하며- 평등을 향한 열망에 국회는 제정까지 흔들림없이 나가야한다 file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0.06.29 192
364 [성명] 토론조차 이루어지지 못한 서울학생인권조례 개악시도 토론회. 진보와 보수의 갈등이 아닌, 인권침해와 폭력의 문제이다. 덕현 2014.01.17 3368
363 [성명] 충남 인권조례 폐지시킨 자유한국당을 규탄한다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18.02.02 178
362 [성명] 축복은 죄가 아니다! 이동환 목사에 대한 부당한 판결을 당장 거둬라!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1.07.16 187
361 [성명] 제성호를 인권대사로 임명하는 정부에 인권은 없다. 동인련 2008.07.25 6432
360 [성명] 전교조에 대한 법외노조 통보 취소는 당연하다- 참교육의 함성으로 평등한 교육 현장 만들 전교조를 응원하며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0.09.03 280
359 [성명] 전교조에 대한 대법원의 법외노조 통보 취소 판결을 촉구한다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0.05.15 178
358 [성명] 자유한국당의 국가인권위법 개정안 발의를 규탄한다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17.09.25 198
357 [성명] 자유한국당은 혐오로 표심을 잡으려는 치졸한 작태를 멈춰라! - 자유한국당 혐오선동에 부쳐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19.05.21 215
356 [성명] 일터의 평등을 위한 한 걸음의 전진을 시작하며-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 시행에 부쳐 file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19.07.16 227
355 [성명] 일터에 미세먼지처럼 존재하는 성소수자 혐오와 차별을 걷어내자 - 쿠팡 성소수자 노동자 직장 내 괴롭힘·성희롱 사건에 부쳐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2.01.11 222
354 [성명] 인권의 가치에 재갈을 물리려는 동성애혐오자들을 강력히 규탄한다. - 성북주민인권선언 선포식 파행의 책임은 모두 그들에게 있다 - 덕현 2013.12.12 4804
353 [성명] 이건 자위권 행사가 아니라 명백한 범죄행위다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가자 주민들에 대한 야만적인 공격과 침공 시도를 즉각 중단하라 file 동인련 2012.11.20 8490
352 [성명] 육군의 동성애자 군인 색출 수사와 인권침해를 규탄한다! - 동성애는 범죄가 아니다! 동성애자가 아니라 군대에 뿌리내린 반인권을 색출하라! file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17.04.14 1120
351 [성명] 우리의 존재를 인정하라! - 일방적으로 동성 배우자 피부양자 등록을 취소한 국민건강보험공단은 들어라 file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0.11.11 208
350 [성명] 우리가 필요한 것은 현실적이고 인권적인 성교육이다- 교육부의 <국가 수준 학교 성교육 표준안> 수정 거부 결정을 비판하며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17.02.07 619
349 [성명] 언론은 질병 예방을 저해하는 혐오 선동을 멈춰라 file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0.05.07 5433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31 Next
/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