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
성명 및 논평
Solidarity for LGBT Human Rights of Korea

[논평] 성별의 법적 인정에 관한 법률 발의를 환영하며, 
국회는 트랜스젠더의 ‘나답게 살아갈 권리’를 실현하라

 

어제(20일) 국회에서 ‘성별의 법적 인정에 관한 법률안(‘성별인정법’)’이 발의되었다. 성확정수술 등 신체침습적인 의료적 조치 없이 법적 성별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법률이다. 청소년 트랜스젠더의 경우도 부모 동의 또는 법원의 허가를 받아 성별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현재 법률이 존재하지 않고 각 법원의 판단에 의해 성별정정 허가가 이루어지면서 발생하는 절차적 위법성에 대한 통제장치도 두고 있다. 

 

이 법안은 원래 2023년 11월 20일 트랜스젠더 추모의 날을 맞아 발의할 예정이었으나 정족수 미달로 발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늦게나마 국회에서 다시 한 번 누구나 성별정체성에 따라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누리고 사회구성원의 한 사람으로서 정당한 권익을 자유로이 실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법이 발의된 것을 성소수자차별반대 무지개행동은  환영한다. 

 

지금까지 법적 성별변경에 관하여 국회에 발의된 법안은 2006년 故노회찬 의원이 대표 발의한 ‘성전환자의 성별변경 등에 관한 특별법안’이 마지막이다. 해당 법안이 결국 제정되지 못하고 임기만료 폐기된 이후, 그간 법적 성별변경은 대법원의 판례와 예규 ‘성전환자의 성별정정허가신청사건 등 사무처리지침’에 의해 규정되어 왔다. 그러나 대법원 판례와 예규는 생식능력제거 및 외부성기형성수술, 혼인 중이 아닐 것, 성인일 것 등 트랜스젠더의 실제 삶을 반영하지 못하는 인권침해적인 요건을 두고 있다. 이에 국가인권위원회에서 2008년과 2023년 두 차례 대법원 예규 개정을 권고했으나 핵심적인 문제는 그대로 남아 있다. 

 

그렇게 한국에서 통일된 법률 없이 성별변경 제도가 이루어져 온 18여년 간 세계는 변화하여 왔다. 2012년 아르헨티나를 시작으로 20여개 넘는 국가와 지역에서 어떠한 요건도 없이 ‘자기결정’에 의해 성별변경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2023년 10월 25일 최고재판소에서 만장일치로 성별변경에 생식능력제거를 요구하는 것은 신체를 침해받지 않을 권리, 재생산권에 대한 침해라고 판결하였다. 지난 5월 7일 체코 헌법재판소가 성별변경에 외과적 수술을 요구하는 것을 위헌으로 함에 따라 EU 모든 국가는 수술 없이 성별변경이 가능해졌다. 나아가 유엔 자유권위원회는 2023년 11월 3일 한국정부 보고서에 대한 최종견해에서 성별변경에 있어 강제적인 요건들을 삭제할 것을 권고했다. 

 

국내 각 법원에서도 전향적인 판결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 2021년 수원가정법원은 생식능력제거를 하지 않은 트랜스남성의 성별정정을 허가하였고, 2022년 서울서부지방법원은 성확정수술을 받지 않은 트랜스여성에 대해 성별정정을 허가하였다. 최근 청주지방법원 영동지원은 성별정정에 있어 생식능력제거 요구의 위헌성을 구체적으로 설시하였다. 이러한  흐름에 비추어 보았을 때 이번 법안 발의는 당연하지만 또 너무나 늦은 것이기도 하다. 

아쉽게도 21대 국회 임기가 약 일주일 남은 지금 이 법안이 제대로 논의되기는 어렵다 할 것이다. 하지만 이번의 법안 발의가 단지 하나의 사건으로만 끝나서는 아니 된다. 22대 국회 당사자들 모두가 지금이라도 성별의 법적 인정에 관한 법률이 발의된 의미를 숙고하고, 다음 국회에서 논의를 이어나갈 것을 촉구한다. 

 

지난 2022년 미성년 자녀를 둔 트랜스젠더 성별변경에 대한 전원합의체 판결에서, 김선수, 오경미 대법관은 보충의견에서 “기성의 굳은 질서가 만들어 내는 얼음장 같은 침묵을 깨고 울려 나오는 성전환자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그들의 고통에 공감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우리 사회의 소수자인 성전환자의 권리보호를 위한 사법부의 역할의 중요성과 함께 성별정정에 관한 입법 조치가 시급함을 다시 한 번 강조하며 다수의견에 대한 보충의견을 밝힌다.”고 하였다. 그 말처럼 국회가 성소수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모든 국민의 대표로서 마지막 역할을 다하기를 촉구한다. 트랜스젠더가 ‘나답게 살 권리’는 지금 즉시 실현되어야 한다. 

 

2024년 5월 21일

성소수자차별반대 무지개행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상담 및 인터뷰 요청 전 꼭 읽어주세요! 동인련 2010.05.12 85817
245 중국 정부는 구금된 페미니스트․LGBT 활동가 5명을 즉각 석방하고 페미니스트∙LGBT 활동가와 사회운동에 대한 탄압을 중단하라! 이주사 2015.03.18 1436
244 [성명서] 국가인권위원회의 부실화를 부추기는 무자격, 반인권 인사의 임명에 반대한다. 웅- 2015.01.09 1470
243 마을의 작은 전시마저 ‘성소수자’라고 거부한 서울시? 장수마을 청소년 성소수자 관련 전시지원 거부한 서울시 규탄 입장 및 질의 file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15.06.16 1526
242 [카드뉴스] 군형법 제92조 6에 대한 오해 1~3 file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16.07.27 1574
241 9인의 헌법재판관들에게, 헌법재판소의 존재를 묻는다! 병권 2014.12.22 1586
240 박원순 서울시장은 시민위원회의 결정을 묵살하려 하는가? 「서울시민 인권헌장」을 조속히 선포하라! 덕현 2014.12.01 1616
239 [성명서] 트랜스젠더에 대한 병역면제취소처분의 위법성을 인정한 판결을 환영하며 - 병무청은 트랜스젠더에 대한 인권침해적 병역처분 관행을 즉시 시정하라! 동인련 2015.02.02 1643
238 한국은 이스라엘과의 무기거래 / 군사원조를 당장 중단하라! 병권 2014.08.11 1647
237 [기자회견문]교육부의 차별조장 <학교성교육표준안> 도입을 즉각 중단하고 관련 내용을 전면 재검토하라! file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15.04.13 1660
236 [논평]한 트랜스젠더의 퇴사 소식이 보여준 트랜스젠더 차별의 현실 file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15.12.29 1689
235 국회는 제대로 된 4.16특별법을 제정하라 -철저한 진상규명 그리고 생명과 안전에 대한 권리가 보장되는 특별법이 시민과 가족이 원하는 것이다 병권 2014.07.17 1739
234 [성명서]민주주의를 부정하는 헌법재판소의 통합진보당 해산 결정을 규탄한다 병권 2014.12.19 1781
233 [기자회견문] 서울시 주민참여예산사업 <청소년 무지개와 함께 지원센터> 불용위기에 부쳐 인권도시 성북은 죽었는가? 병권 2014.12.31 1798
232 [기자회견문] 요양병원들의 HIV/AIDS감염인에 대한 입원 거부는 장애인차별금지법상 금지된 차별행위이다 병권 2014.07.17 1829
231 [보도자료] 서울시민인권헌장 제정 시민위원회의 결정 환영 및 서울시의 입장에 대한 유감 표명 병권 2014.11.29 1872
230 <성명> 인권위법과 ICC 권고에 어긋난 인권위원 임명이 웬 말이냐! 동성애 차별 발언과 차별금지법 거부한 최이우는 사퇴하라! 병권 2014.11.10 1878
229 <기자회견문> 트랜스젠더 신체훼손 강요하는 병무청의 인권침해를 강력히 규탄하고, 국가인권위원회의 개선 권고를 요구한다. file 병권 2014.10.22 1914
228 서울시 주민참여예산사업 <청소년무지개와 함께 지원센터> 사업예산 불용 및 경찰폭력 규탄 기자회견문 웅- 2015.01.05 1925
227 <성 명> 쇄신보다는 시민사회를 비난하는 인권위에게 제 역할을 기대하기 어렵다- 현병철 위원장은 A등급의 국가인권기구 수장 자격이 있는지부터 돌아봐야 웅- 2015.01.15 1938
226 반인권 행사 ‘탈동성애인권포럼’에 장소 제공한 국가인권위원회를 규탄한다 동인련 2015.03.19 1944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31 Next
/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