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
성명 및 논평
Solidarity for LGBT Human Rights of Korea


<성명서>

서울시 학생인권조례를 왜곡하는 언론행태 유감이다.
-성적 지향에 따른 차별을 금지하는 것은 당연한 권리이며 사회의 책무이다.
 
서울시 교육청 자문위원회에서 학생인권조례안을 확정하자 지난 20일, 21일 많은 일간지를 비롯한 언론이 일제히 반대와 우려의 기사를 쏟아내고 있다. 국민일보, 문화일보, 동아일보, 한국일보, 서울신문은 사설을 통해서, 국민일보와 중앙일보는 기사를 통해서 학생인권조례에 특히 ‘동성애’ 관련 조항이 포함된 것에 대해 반대하고 있다. 학생인권조례 성소수자 공동행동은 이러한 언론의 행태에 대해 강력한 유감을 표하며 언론으로서 최소한의 공정함과 상식, 인권의식을 갖추기를 요구한다.

과거에도 현재에도 학교현장에서는 동성애자라는 이유로, 성전환자라는 이유로, 남성/여성스럽지 않다는 이유 등으로 따돌림과 차별, 혐오, 폭력이 일어나고 있다. 대다수 청소년들에게 학교라는 공간이 절대적인 영향을 끼치는 만큼 이 안에서 경험하는 차별과 폭력은 심각한 영향을 준다. 따라서 많은 수의 학생이 학교를 떠나고 자살을 시도하기도 한다. ‘학생으로서 성적 지향에 따른 차별을 받지 않을 권리가 있다’는 것은 학생인권조례를 통해서 바로 이러한 차별과 폭력을 예방하고 시정하겠다는 것이다. 모든 인간의 존엄성과 차별금지 보장은 헌법, 교육기본법, 초중등교육법 등에 반복하여 명시되어 있는 대원칙이며 성소수자 학생이라고 해서 그 원칙에서 제외될 그 어떤 이유도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지금 언론은 이 조항을 어떻게 해석하고 있는가? 마치 성적지향에 따른 차별을 언급하면 청소년이 성적으로 문란해지고, 동성애를 ‘허용’하면 동성애가 유행할 것처럼 괴담을 퍼트리고 있다. 언론이 나서서 성소수자 학생에 대한 편견을 조장하고 학교에서 내몰고 있다고 해서 과언이 아니다. 바로 이러한 행태를 막고 누구나 학교 안에서 안전하고 포용적인 환경에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권리를 위한 것이 학생인권조례이다. 따라서 학생인권조례에 성적 지향을 이유로 차별받지 않을 권리가 명시되는 것은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언론에서 증명하고 있다.

성과 관련된 정체성이라고 하여 타인이, 법과 제도가 허용할지 말지를 결정할 수 없다. 누군가 동성애자임을 깨닫거나 동성애자가 되는 것은 자연스럽고 당연한 일이며, 다양한 정체성을 가진 이들이 동등한 인권을 보장받고, 존중받는 사회를 만드는 것이 현재 인류가 합의하고 있는 최소한의 도덕이다. 지난 10월 6월 유엔아동권리위원회에서 한국정부 보고서에 대한 최종권고안에도 아동청소년에 대한 차별금지에 성적지향을 명시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최소한의 상식적 인식도 없이, 국제적 인권기준은 외면하면서 공식적으로 발언하기 민망한 수준의 주장을 일간지가 하고 있는 현실이 참으로 개탄스럽다.

한편 서울시장 보궐선거를 앞두고 성적 지향을 빌미로 학생인권조례를 정치쟁점화하는 의도가 보여 민망하다. 언론이 나서서 이러한 행태를 강화하지 않기를 바란다. 무엇보다 학생들의 눈높이에서, 학생들이 가장 절실한 목적과 내용으로 채워지는 학생인권조례를 만드는 것이 서울시의회, 서울시교육청의 책무이며 그것을 잊지 않는 것이 또한 언론의 역할이다.

2011년 10월 24일

공익변호사그룹 공감, 다산인권센터, 다양성을 위한 성소수자 모임 다씨, 다함께, 동성애자인권연대, 민주주의법학연구회, 언니네트워크, 외국인이주·노동운동협의회, 울산인권운동연대, 이화레즈비언 인권운동모임 ‘변태소녀 하늘을 날다’, 인권교육센터‘들’, 인권단체연석회의, 인권운동사랑방, 장애인권발다닥행동, 지구지역행동네트워크, 진보네트워크, 진보신당 성정치위원회, (가칭)청소년 성소수자 조례대응팀, 청소년인권행동 아수나로 서울지부, 학생인권조례제정운동서울본부, 학생인권조례 성소수자 공동행동, 한국게이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 한국여성민우회 (이하 23개 단체)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상담 및 인터뷰 요청 전 꼭 읽어주세요! 동인련 2010.05.12 85412
465 [차제연 논평] 15년만에 법제사법위원회 책상에 올라간 차별금지법 - 차별금지/평등법 법안심사를 시작하라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2.04.27 62
464 [차제연 기자회견문] 정치는 평등을 시작하라. 국회는 4월 안에 반드시 차별금지법을 제정하라.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2.04.14 105
463 [차제연 기자회견문] 46일간의 농성 및 단식투쟁을 마치며 - 정치의 실패다. 차별금지법 제정까지 끝까지 투쟁한다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2.05.26 91
462 [차별금지법제정연대 재출범 선언문]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17.04.04 639
461 [차별금지법제정연대 성명] 김문수 혐오발언 방치하는 인권위 각하 결정 규탄한다. 정치인 혐오발언에 대한 입장과 대응책을 분명하게 밝히라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19.11.12 164
460 [차별금지법제정연대 성명] 국가인권위원회의 평등법 제정 의견표명을 환영하며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0.07.07 64
459 [차별금지법제정연대 성명] '성적지향'삭제? 지워야 할 것은 국회에 만연한 혐오다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19.11.14 159
458 [차별금지법제정연대 논평]학내 차별언동·혐오표현 관련 조항을 추가한 서울 학생인권조례 개정안 통과를 환영한다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17.09.18 115
457 [차별금지법제정연대 논평] 포괄적 차별금지법 제정, 단계론으로 회피하지 마라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19.09.09 158
456 [차별금지법제정연대 논평] 청년과 구직자들의 꿈을 꺾는 온갖 차별들을 뿌리 뽑아야 한다 공공기관 채용비리와 차별 채용을 규탄하며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17.10.10 163
455 [차별금지법제정연대 논평] 차별 없는 일상, 한 발 다가선 평등 - 가족구성권 3법 발의를 환영하며 -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3.05.31 97
454 [차별금지법제정연대 논평] 성소수자 체육행사 대관을 취소한 동대문구를 규탄하며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17.10.10 143
453 [차별금지법제정연대 논평] 서울시의회는 '혐오표현 피해방지 조례' 를 즉각 제정하라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0.09.09 158
452 [차별금지법제정연대 논평] 사회적 차별과 낙인을 조장하는 HIV/AIDS에 대한 혐오와 차별 선동을 규탄하며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17.10.24 190
451 [차별금지법제정연대 논평] 8년만의 민주당 발의 환영한다. 국회는 연내 차별금지법/평등법 제정을 위한 논의에 지금 바로 착수하라.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1.06.16 60
450 [차별금지법제정연대 논평] 10명의 의원들에게 박수를 보내며 - 21대 국회의 포괄적 차별금지법 발의를 환영한다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0.07.07 94
449 [차별금지법제정연대 논평] '차별금지법 거론 말라'? 국가인권위는 제정 추진 계획을 밝혀라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19.09.24 133
448 [차별금지법제정연대 기자회견문] 전국의 평등을 향한 시민들의 열망을 실어왔다. 국회는 평등에 탑승하라!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0.09.01 69
447 [차금법농성단 논평] 더불어민주당은 혐오 동조를 멈추고 차별금지법 제정 계획을 밝혀라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1.11.29 52
446 [차금법 농성단 입장] 사랑과 우정이 이긴다 -2021년, 차별금지법 제정에 누구보다 진심이었던 당신에게-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2.01.03 49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31 Next
/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