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
성명 및 논평
Solidarity for LGBT Human Rights of Korea

 

[성명] 성소수자 노동자는 모든 노동자가 안전한 일터를 위해 투쟁할 것이다

- 고 김용균 노동자 1주기를 추모하며

 

고 김용균 노동자 1주기를 추모하며.png

 

 

 

2018년 12월 10일 태안 석탄화력발전소에서 일하던 청년 비정규직 노동자가 작업 도중 컨베이어 벨트에 끼여 숨졌다. 그의 이름은 김용균. 그의 사망 원인은 다름 아닌 위험의 외주화였다. 원청업체와 하청업체의 책임 회피 속에서 하청업체 노동자에게 위험 부담이 집중되는 구조는 비단 그뿐만 아니라 수많은 비정규직 노동자들을 죽음으로 내모는 원인으로 이미 수도 없이 고발당한 바 있다.  

 

고 김용균 노동자의 죽음 이후 일 년이라는 시간이 지났지만 위험의 외주화는 여전히 한국 사회 곳곳에 남아 간접고용 노동자들을 죽음으로 내몰고 있다. ‘김용균법’이라 불리며 국회 문턱을 넘은 산업안전보건법 전면개정안은 정작 그가 일하던 발전소의 비정규직 동료 노동자들에게는 적용되지 않는 허점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고, 정부와 여당의 방조 속에 발전소 하청업체 노동자들의 직접고용은 여전히 논의의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와 여당은 오히려 노동자의 생명을 위협하는 방향으로 법과 행정을 후퇴시키는 일에 더욱 분주히 나서고 있다. 자본이 노동시간을 고무줄처럼 늘였다 줄였다 할 수 있는 탄력적 근로시간제 단위기간 확대의 입법을 강행하는가 하면, 주 52시간 근로시간 상한제 위반에 대한 형사처벌을 유예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나선 모습은 과연 정부와 여당이 노동자의 생명과 안전 보호에 대한 의지를 가지고 있는지 묻게 한다.    

 

참다못한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일하다 죽지 않는 사회’에 대한 정부의 책임을 물으며 노동개악을 저지하기 위하여 대통령에게 면담을 요구했지만, 여전히 대통령은 비정규직 노동자와의 면담에 응하지 않고 있다. 비정규직 노동자를 만나지 않는 대통령은 차별과 혐오 속에 매일 자신의 존재를 부정당하고 있는 성소수자의 고통도 외면하기 바쁘다. 대신 대통령이 만난 사람은 불법적 경영세습을 위해 기득권에 수십억원대 뇌물을 주었다는 혐의로 형사재판을 받고 있는 재벌기업의 총수였고, 성소수자에 대한 차별과 혐오를 선동하는 데 앞장서고 있는 어느 종교 집단의 지도자였다. 문재인 정부가 과연 누구에게 귀를 기울이고 있으며, 어떠한 요구를 받아 안아 실현하고 있는지 여실히 드러나는 대목이다. 

 

그러나 결코 마냥 앉아 좌절하고만 있을 수는 없다. 우리는 안전하지 못한 일터에 대한 침묵과 방조, 노동개악으로 인한 입법과 행정의 후퇴가 성소수자의 노동안전보건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행위임을 안다. 고 김용균 노동자의 죽음은 사회적 편견으로 인해 더욱 불안한 고용형태와 위험한 작업환경에 노출될 수밖에 없는 트랜스젠더 노동자의 죽음과 결코 다르지 않다. 뿐만 아니라 성소수자에 대한 성폭력이나 직장 내 괴롭힘으로 인한 자살, 성중립적인 작업환경을 보장하지 아니함으로써 발생하는 각종 안전·보건 측면의 고통은 아직 수면 위로 드러나지 않았을지언정 분명 성소수자가 일하는 일터에서 실제로 발생하고 있는 중대한 위협이다. 

 

따라서 우리 성소수자 노동자들은 고 김용균 노동자의 1주기를 추모하며, 모든 노동자가 안전하고 존엄하게 일하며 살아갈 수 있는 일터와 사회를 쟁취하기 위한 행동에 적극 앞장서 나갈 것이다. 특별히 중대재해기업처벌법, 포괄적 차별금지법 제정을 반드시 이루어 노동자의 생명과 존엄을 위협하는 어떠한 행위도 용납될 수 없음을 자본과 정권에 분명히 각인시킬 것이다. 

 

‘더 이상 죽을 수 없다’는 노동자와 성소수자의 비명은 다른 종류의 절규가 아니다. 정부와 국회는 지금 당장 이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실질적 해결방안을 적극 강구하라. 

 

2019년 12월 10일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상담 및 인터뷰 요청 전 꼭 읽어주세요! 동인련 2010.05.12 85412
285 [보도자료] 성소수자 차별반대 무지개행동의 18대 대통령 선거 성소수자 정책 질의에 대한 각 후보의 답변 내용 분석 file 동인련 2012.11.29 7233
284 [보도자료] 성소수자 4대 인권입법과제 실현 촉구 및 김조광수-김승환 결혼식 국회의원 초청 기자회견 file 병권 2013.08.22 5161
283 [보도자료] 서울시민인권헌장 제정 시민위원회의 결정 환영 및 서울시의 입장에 대한 유감 표명 병권 2014.11.29 1855
282 [보도자료] 반복되는 에이즈환자 수술거부, 국가인권위에 진정하다 병권 2014.11.11 2353
281 [보도자료] 당신의 인권이 여기에 있다- 6일간의 서울시청 점거농성을 마무리하며 웅- 2014.12.11 1303
280 [보도자료] 관심병사 관리보다 더 중요한 것은 성소수자들에게도 안전한 군대를 만드는 것 - 동반 자살한 28사단 병사들을 추모하며 - 정욜 2014.08.14 2625
279 [변하사공대위 성명] 변희수 하사 강제전역 사건에 대한 국방부, 육군본부의 국가인권위원회 권고 불수용 결정을 규탄한다. file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1.05.12 63
278 [변하사공대위 성명] 군사망사고진상규명위원회의 변희수 하사 사망사건 직권조사 개시 결정을 환영한다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1.12.14 312
277 [발언문] 가족구성권 3법 발의 기자회견 - 혼인평등 당사자 발언 (소성욱&김용민 부부) file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3.05.31 180
276 [민원 ]문형표 장관님, HIV/AIDS감염인과의 면담을 요청드립니다. 웅- 2014.11.24 1331
275 [미쇠고기반대집회사법처리규탄_연대성명]경찰은 국민의 자유에 대한 자의적 판단과 처벌을 멈춰라 동인련 2008.05.06 6324
274 [미디어모니터링 논평] 공영방송은 저열한 트랜스 혐오 선동을 멈춰라 - 1월 25일자 MBC <생방송 오늘아침> 방송에 부쳐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1.01.28 215
273 [미디어논평] 질병을 둘러싼 과도한 접근은 공익을 저해할 뿐 file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2.07.03 167
272 [무지개행동성명]유엔 12개 기구의 성소수자 권리에 관한 공동성명 환영한다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15.10.02 999
271 [무지개행동·차제연 공동성명] 보수개신교와 야합한 박홍근, 이승환 두 후보의 혐오발언 강력히 규탄한다. 제22대 총선 우리는 평등에 투표할 것이다. file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4.04.01 67
270 [무지개행동] 서울시 주민제안사업마저 훼손하려고 하는가. - ‘청소년 무지개와 함께’ 지원센터는 더 많은 곳에 설립되어야 한다! - 동인련 2013.07.04 5517
269 [무지개행동] 낙태죄 완전 폐지 성소수자 선언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0.11.04 221
268 [무지개행동, 가구넷 공동 논평] 국회 최초의 생활동반자법 발의를 환영하며, 나아가 평등권 실현을 위하여 성소수자를 배제하는 혼인제도를 개정할 것을 촉구한다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3.04.26 120
267 [무지개행동 성명]혐오와 합의할 수 없다. 더불어민주당은 더 이상 혐오에 손내밀지 말고 차별금지법을 제정하라 - 11월 25일 더불어민주당 평등법(차별금지법) 토론회에 부쳐 -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1.11.23 45
266 [무지개행동 성명]이성호 국가인권위원장 후보자는 인권을 논할 자격이 없다 박근혜 대통령은 이성호 국가인권위원장 후보자 내정을 철회하라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15.07.31 1098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31 Next
/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