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
공지사항
Solidarity for LGBT Human Rights of Korea
<성명> 공공제도가 기업이익에 따라 흥정대상이 되는 한미 FTA 협상은 중단되어야 한다. - 한국정부가 의약품협상 ‘파행’에 대해 취할 태도는 협상단 부분철수가 아니라 협상중단 - 한미FTA 2차 협상에서 한국의 약가정책이 협상의 문제로 부각되고있다. 미국 협상단 대표 웬디 커틀러는 미국 협상단 대표 웬디 커틀러는 일부 협상단을 퇴장시키는 초강수를 던지면서 한국 정부가 발표한 도입하기로 발표한 의약품 선별등재제도(포지티브 리스트)는 혁신적 신약을 차별하고 그 결과 한국의 환자와 의사들이 신약에 접근하는 것을 제한한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미국정부는 이후 2개분과 협상장에서 협상단을 철수시키고 한국정부도 상품부역분과 및 환경분과에서 협상단을 철수시키는 '협상파행'이 연출되었다. 우리는 우선 의약품의 선별등재제도에 대한 양국정부의 태도에 대해 지적하고자 한다. 의약품선별등재제도는 이미 많은 OECD 국가에서 시행되고 있다. 미국의 주장처럼 이 제도가 혁신적 신약을 차별하거나 환자들의 의약품 접근권을 제한했다면 이미 오래 전에 폐기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어느 나라에서도 이런 문제가 생기지 않았다. 미국 협상단의 태도는 국민의 건강을 위해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보건의료정책을 수립하여 시행해야 하는 한국 정부의 헌법적 의무를 무시한 채 자국의 제약사의 이해만 대변하여 신약의 가격을 높게 유지하겠다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미국의 퇴장전술 구사는 협상에서 유리한 지위를 점하기 위해 한국 국민의 건강권을 위협하는 것으로 비난 받아 마땅하다. 그러나 또한 4대 선결과제라는 명목으로 약가정책을 수정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하여 미국에게 빌미?! ? 제공한 한국 정부가 더 큰 비난을 받아야 함이 마땅하다. 그러나 우리는 이번 양국정부의 협상장에서의 퇴장이 본질적인 문제를 가리려는 계산된 연출이라는 점이 더욱 큰 문제라고 판단한다. 미국정부가 한국의 약가 제도를 들먹이며 협상장에 나타나지 않는 것은 이를 통해 의약품분야의 다른 요구사항 및 다른 분야의 양보를 얻어내려는 협상전술로 판단된다. 다국적제약사는 양국정부가 합의한 투자자 대 정부 제소권을 통해, 그리고 추후 지적재산권에 대한 비위반제소가 인정되면 이를 통해, 굳이 선별등재제도를 지금 철회시키지 않더라도 한미FTA가 체결된 후 언제든지 한국 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여 손해배상을 받아 내거나 제도를 철회시킬 수 있다. 또한 의약품 특허기간연장 요구나 이의제기기구의 설치 요구가 받아들여지면 선별등재재제도의 의의는 매우 제한적이 되어 무늬만의 포지티브리스트 제도로 바뀔 가능성이 높다. 단일 특?! 是퓸璿걀? 대한 약가협상은 한계가 매우 클 수 밖에 없고 여기에 이의제기기구 등 다국적 제약사의 간섭절차를 상시화하면 선별등재제도의 의미가 거의 없어지기 때문이다. 현재 미국정부의 현재 협상장 퇴장은 선별등재제도에 대해 큰 양보를 하는 양 모양새를 취하면서 약가정책에 미국 다국적 제약사가 개입하려는 절차 마련과 특허 의약품의 기간 연장, 의약품 허가 과정의 특허 연계 등을 얻어 내려하는 협상전술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한국정부가 이미 투자자 대 정부 제소제도를 합의한 마당에 협상단을 일부 퇴장시키는 것도 대국민용 연극으로 보이는 것 또한 마찬가지이다. 우리는 의약품분야 협상의 파행이 한미 자유무역협정의 본질을 보여주는 것으로 판단한다. 국민의 이익을 위한 공공제도가 FTA 협상단계에서 벌써 다국적 기업의 이익에 따라 흥정과 협상의 대상이 되고 있다. 한미 FTA 협상이 체결된다면 투자자보호조항과 투자자 대 정부 제소권을 통해 이러한 일은 상시적인 일이 될 것이다. 한미 FTA는 모든 공공제도가 기업의 이익에 따라 재단되는 협정이다. 양국정부는 속이 들여다 보이는 '쇼'를 멈추어야 한다. 기업의 이익이 사회의 이익과 공공제도보다 우선되는 한미 FTA 협상을 당장 중단하라. 2006.7.14 건강권실현을 위한 보건의료단체연합(건강사회를 위한 약사회, 건강사회를 위한 치과의사회, 노동건강연대,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참의료실현청년한의사회), 건강세상네트워크, 공공의약센터, 전국병원노동조합협의회, 전국사회보험노동조합, 정보공유연대, 진보네트워크센터, HIV/AIDS인권모임나누리+, 한국백혈병환우회, 한국HIV/AIDS감염인연대KANOS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사항 행성인 후원으로 함께 변화를 만들어요! file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4.06.11 61
공지 공지사항 행성인 단체 안내서 - 평등한 행성으로의 초대 file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4.05.17 180
공지 활동보고 행성인 2023 활동보고서 file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4.03.27 212
공지 공지사항 2024년 행성인 정기 회원총회 자료집 (+2024 행성인 활동 연간계획표) file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4.02.26 298
공지 활동보고 2023 행성인 활동영상 file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4.01.02 298
공지 공지사항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정관 및 내규 file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3.02.20 638
공지 공지사항 행성인 사무국 운영시간 안내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19.03.21 6198
공지 공지사항 행성인 온라인 소통 창구 및 조정위원회 안내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18.04.13 2032
공지 공지사항 평등한 공동체를 만들기 위한 약속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15.01.06 51014
548 활동보고 2005 여름 동성애자인권캠프 공동준비단 2차회의 보고 동인련 2005.06.14 4338
547 공지사항 6월 동인련 활동토론 '김선일의 죽음을 기억하라'에 참가하세요~ 동인련 2005.06.13 4328
546 공지사항 1주차 성소수자 전문 상담원 교육 일정! 동인련 2005.06.12 4445
545 활동보고 2005 여름 동성애자인권캠프 공동준비단 1차 회의 보고 동인련 2005.06.06 4297
544 공지사항 퀴어퍼레이드, 이렇게 모입시다! 동인련 2005.06.04 4570
543 공지사항 2005 퀴어문화축제 퍼레이드에 함께합시다. 동인련 2005.06.02 4272
542 공지사항 5월28일 야유회가 연기되었습니다. 동인련 2005.05.27 4301
541 공지사항 2005년 성소수자 전문 상담원 양성을 위한 교육이 시작됩니다. 동인련 2005.05.27 4569
540 공지사항 5월 회원의 밤 홍보 전체메일 발송과 관련된 사과글. 동인련 2005.05.26 4405
539 활동보고 대구대 초등특수교육과 '성소수자인권' 강연다녀왔습니다. 동인련 2005.05.26 4720
538 활동보고 5월 활동토론을 진행했습니다. 동인련 2005.05.25 4258
537 활동보고 월요일 퀴어퍼레이드 관련 회의를 진행했습니다. 동인련 2005.05.24 4330
536 공지사항 [성명] 브라질 정부는 에이즈치료제에 대한 강제실시를 발동하라! 동인련 2005.05.24 4466
535 활동보고 한국인권행동 강연 다녀왔습니다. 동인련 2005.05.20 4392
534 공지사항 [5월인권포럼 with 친구사이] '커밍아웃' 함께 참여해요! 동인련 2005.05.17 4241
533 공지사항 2005 여름 동성애자인권캠프 공동준비단 제안 동인련 2005.05.14 4576
532 공지사항 학교내 성정체성 교육 의무화를 위한 활동을 제안합니다~! 동인련 2005.05.14 4225
531 공지사항 5월 활동토론 '스톤월 항쟁과 퀴어문화축제 2005' 동인련 2005.05.14 4323
530 활동보고 동인련 5월 뉴스레터를 발송했습니다. 동인련 2005.05.13 4162
529 활동보고 LGBT paper 5,6월호가 발행되었습니다. 동인련 2005.05.08 6008
Board Pagination Prev 1 ...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 107 Next
/ 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