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
공지사항
Solidarity for LGBT Human Rights of Korea
- 87년 6월 항쟁 20주년에 즈음한 인권단체연석회의 논평- 민주주의와 인권을 향한 중단 없는 투쟁을! 오늘로 87년 6월 항쟁이 20주년을 맞는다. 그 날 시민들은 너나할 것 없이 '호헌철폐, 독재타도'를 외치며 거리로 모여들었고, 80년 광주의 피를 먹고 자란 독재정권에 맞서 항거했다. 87년 6월 항쟁은 80년 광주민중항쟁을 시작으로 독재정권의 서슬 퍼런 탄압에 맞서 민주주의를 옹호했던 역사와 투쟁의 산물이다. 반민주 독재정권에 항거하는 투쟁의 대열에서 많은 민주열사들이 자신의 삶을 희생했고, 이런 희생과 피나는 눈물을 딛고 일어서 마침내 반독재 민주화투쟁의 커다란 물결을 만들어낼 수 있었다. 87년 6월 항쟁이 열어놓은 민주화를 향한 거스를 수 없는 역사의 흐름은 7,8,9 노동자대투쟁으로 이어졌다. 개발독재아래에서 인간이하의 삶을 강요당했던 이 땅의 노동자들은 전국 각지에서 떨쳐 있어났고, "노동자도 인간"임을 선언하면서 자주적인 단결과 투쟁의 역사를 일구어냈다. 87년 7,8,9 노동자대투쟁은 민주화라는 역사의 흐름이 어떻게 심화되어야 하는지 투쟁을 통해 보여주었다. 노동자대투쟁은 '민주주의 없이 생존권 또한 있을 수 없고, 노동자 민중의 생존권이 박탈되는 순간 민주주의 또한 존재할 수 없는 것'이라는 대명제를 우리에게 교훈으로 남겨주었다. 그로부터 20년. 87년 6월 항쟁과 노동자대투쟁의 정신은 여전히 우리 사회 속에서 살아 숨 쉬고 있는가? 87년 민중항쟁을 과거의 찬란한 역사로 기억하고 기념만 하기에는, 우리가 부딪치고 있는 현실이 너무나 암담하다. 민주화운동의 적자임을 참칭하는 자들은 87년 민중투쟁의 정신을 박제화하고 이것도 모자라 우리 사회의 민주주의와 인권의 시계를 거꾸로 돌리는 중이다. 87년 6월 항쟁의 역사적 교훈인 민주주의는 2007년 오늘, 그야말로 '최대위기상황'에 봉착해있다. 몇 가지 기억을 되살리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리라. 6월 항쟁의 적자임을 자처하는 노무현 정부는, 박정희 정권 이후 처음으로 한국군 해외파병을 감행하더니, 미국과의 전략적 유연성 합의에 따라 한반도를 전쟁기지로 만드는데 골몰하고 있다. 선진화라는 명분으로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한미 FTA에 따라, 얼마나 많은 노동자 민중의 생존권이 벼랑 밑으로 떨어지게 될지 가늠할 수 없는 상황이다. 정치적 자유와 민주적 권리의 상황도 심각하다. 독재정권의 유산인 국가보안법은 여전히 건재하고, 통신비밀보호법 개악 시도에서 볼 수 있듯이 공안당국의 권력은 이제 온라인을 넘보는 수준에 까지 이르고 있다. 국민의 정부와 참여 정부가 개악한 집시법에 따라 노동자 민중의 정치 표현의 자유엔 한마디로 재갈이 물려지고 있는 형국이다. 최근 정부와 경찰이 보여주고 있는 집회시위에 대한 탄압과 살인적인 경찰폭력은 독재정권시절의 탄압을 방불케 하는 수준이다. 독재시절의 과거사를 청산하기 위한 국민적 요구는 물론이고, 계급사법의 혁파를 위한 사법개혁이라는 국민적 과제마저도 정치권의 대선놀음으로 미완의 상태로, 법조특권의 이해를 조절하는 수준에서 위기에 처해있다. 오늘 우리가 맞이하고 있는 이와 같은 상황은 민주주의로 대표되는 87년 민중 항쟁의 정신과 이를 향한 민중의 아래로부터의 진출에 대해 신자유주의 세력이 획책한 대대적인 반격으로부터 기인하는 것이다. 6월 항쟁과 노동자대투쟁은 민주주의라는 보편적인 가치를 역사에 각인하고 그것의 주체가 민중 자신임을 확인시켜주었지만, 군부독재를 완전히 끝장내고 민주화를 위한 조건을 심화시키는 데에까지는 이르지 못했다. 민중의 진출에 놀란 자유주의세력과 일부 군부독재세력은 6.29선언과 대통령선거를 통해 군부독재의 시효를 연장시켰고, 89년 공안정국을 배경으로 탄생한 보수대연합을 통해 민주주의의 시계를 거꾸로 돌리기 시작했다. 그리고 이런 흐름은 김영삼 정부의 세계화 정책을 거쳐 97년 외환위기를 계기로 신자유주의 정책이 본격화되면서 민주주의와 생존권에 대한 철저한 부정의 역사로 돌변하기 시작했다. 김대중 정부가 공격적인 구조조정과 금융개방 등으로 한국사회의 신자유주의적 재편의 기반을 마련했다면, 노무현 정부는 노동법개악, FTA, 한미군사동맹의 강화 등을 통해 이를 완성하고 있는 중이다. 그러므로 87년 6월 항쟁의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고 그 정신을 계승하는 일은, 민주주의와 생존권에 대한 이 같은 부정의 역사에 대해 저항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해야 한다. 민주주의와 생존권이라는 민중의 보편적 권리는 노무현 정부의 신자유주의 공세와 정치사회적 권리의 박탈을 정면에서 맞받아칠 때 한발 씩 접근할 수 있다. 특히 6월말 한미 정상이 조인할 예정인 FTA와 7월부터 시행될 비정규악법은 자본의 소유권을 위해 민중의 인권과 생존권을 파괴하고, 또 공동체의 당연한 구성원리인 민주주의를 근본적으로 훼손하는 조치라는 점에서 비상한 대응이 요청된다. 공무원노조에 대한 파시즘적 탄압에서 볼 수 있는 정부의 여러 반민주적 행태의 극복하고, 결사의 자유와 표현의 자유, 집회시위의 자유를 유보 없는 인권으로서 실현하기 위한 투쟁도 계속 이어져야 할 것이다 87년 민중항쟁 20주년. 그것은 이처럼 인권과 민주주의를 향한 중단 없는 싸움을 시작하기 위한 반성과 성찰의 시간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20년 전 그날과 똑같이, 거리곳곳에서 빼앗긴 우리의 권리를 위해 너와 내가 함께 손잡을 때, 민주주의와 인권을 향한 희망을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다. 2007년 6월 10일 인권단체연석회의 거창평화인권예술제위원회/구속노동자후원회/광주인권운동센터/다산인권센터/대항지구화행동/동성애자인권연대/문화연대/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민족민주열사희생자추모(기념)단체연대회의/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민주주의법학연구회/부산인권센터/불교인권위원회/빈곤과차별에저항하는인권운동연대/사회진보연대/새사회연대/아시아평화인권연대/안산노동인권센터/에이즈인권모임나누리+/외국인이주노동자대책협의회/울산인권운동연대/원불교인권위원회/이주노동자인권연대/인권과평화를위한국제민주연대/인권운동사랑방/장애와인권발바닥행동/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준)/전국불안정노동철폐연대/전북평화와인권연대/전쟁없는세상/진보네트워크센터/천주교인권위원회/평화인권연대/한국교회인권센터/한국DPI(한국장애인연맹)/한국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전국 37개 인권단체)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사항 행성인 후원으로 함께 변화를 만들어요! file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4.06.11 61
공지 공지사항 행성인 단체 안내서 - 평등한 행성으로의 초대 file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4.05.17 180
공지 활동보고 행성인 2023 활동보고서 file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4.03.27 212
공지 공지사항 2024년 행성인 정기 회원총회 자료집 (+2024 행성인 활동 연간계획표) file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4.02.26 298
공지 활동보고 2023 행성인 활동영상 file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4.01.02 298
공지 공지사항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정관 및 내규 file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23.02.20 638
공지 공지사항 행성인 사무국 운영시간 안내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19.03.21 6198
공지 공지사항 행성인 온라인 소통 창구 및 조정위원회 안내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18.04.13 2032
공지 공지사항 평등한 공동체를 만들기 위한 약속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2015.01.06 51014
2108 공지사항 제5회 인권영화제 개막식 홍석천씨 사회 맡아(홍석천 지지모임 캠페인도 열려) 10월 27일 동인련 2000.10.26 8776
2107 공지사항 동성애자의 인권을 이야기하자 패널토론(10월 29일) 동인련 2000.10.26 9130
2106 공지사항 한양대학교 동성애자 인권에 대한 강연회 열립니다 (11월 1일) 동인련 2000.10.26 8948
2105 공지사항 앰네스티 한국지부 인권학교 개강 (동인련 대표 강사) 11월 2일 동인련 2000.10.26 9044
2104 공지사항 부천 YMCA 강연회(11월 3일) 동인련 2000.10.26 9468
2103 공지사항 경북대학교에서 동성애자 인권에 대한 강연회 열립니다(11월 8일) 동인련 2000.10.26 9391
2102 공지사항 서울예술대학에서 동성애자 인권에 대한 강연회(11월 9일) 동인련 2000.10.26 9720
2101 공지사항 [국감속보] 홍석천 보건복지위 출석 일부의원들의 반대로 무산 동인련 2000.11.07 8374
2100 공지사항 홍석천 국감거부 사건경위와 공식입장 동인련 2000.11.10 8153
2099 공지사항 동인련 화요 세미나 안내 동인련 2000.11.14 7948
2098 공지사항 17일 MBC 화제집중 홍석천 국감거부 사건에 대하여 나옵니다 동인련 2000.11.16 22448
2097 공지사항 '커밍아웃 2000 후원의밤' 일일호프 개최합니다 동인련 2000.12.04 7669
2096 공지사항 [성명서] 세계인권선언 52주년 인권단체 공동성명 동인련 2000.12.08 7556
2095 공지사항 [환영] 국가인권위원회법안 여야의원 48명 의원입법 발의 동인련 2000.12.08 7499
2094 공지사항 [알림] 동인련 사무실 업무 일시정지 동인련 2000.12.18 8022
2093 공지사항 단식농성 중단 이후 연말연시 투쟁을 준비합니다 동인련 2000.12.20 7580
2092 공지사항 [알림] 동성애자와 국가인권위원회법, 홍커지모 결산회의 동인련 2000.12.21 8233
2091 공지사항 국가보안법 폐지·국가인권위원회법 제정을 위한 인권활동가 연합 단식 농성 결단식 기자회견 동인련 2000.12.28 7047
2090 공지사항 [성명서] 국가보안법 폐지! 국가인권위원회법 제정! 인권활동가 연합 단식농성에 들어가며 동인련 2000.12.28 7223
2089 공지사항 [공지] 동인련 총회앰티 20일-21일 우이동에서... 동인련 2001.01.15 774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07 Next
/ 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