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
성명 및 논평
Solidarity for LGBT Human Rights of Korea

제목 없음.png

 

[논평]’원숭이 두창’을 보도하는 언론 행태에 부쳐

- 낯선 질병에 성소수자를 동원하는 언론은 나쁜 손을 잘라라

 

 

 

요 며칠 언론은 ‘원숭이두창’ 관련 기사를 쏟아냈다. 이름부터 생소한 질병에 들러붙은 키워드는 아니나 다를까 ‘동성애’였다. 서구 감염인 중 다수가 동성애자들이 모이는 클럽과 파티에서 감염되었다는 것이다.   

 

성접촉으로 전파된 것인지, 그 외 신체접촉으로 전파된 것인지, 아니면 비말을 통해 감염된 것인지 확정된 건 없어 보인다. 다만 가설의 수준에서 정확한 전파경로를 추적하는 중이고 비말에 의한 감염에 무게를 싣는 모습이다. 아직 알려진 것보다 모르는 것이 더 많은 상황에서 언론은 ‘동성애’를 질병 예방의 방향성과 관계 없이 동원한다. 어쨌든 확진자 다수가 20-50대 남성 동성애자라는 사실은 변동이 없지 않느냐는 논리다.  

 

언론은 온전하게 알려지지 않은 사건에 주변적인 정보들을 장식처럼 붙인다. 게이클럽과 사우나, 마디그라 축제 등 사람들이 많이 모여 신체접촉을 할 수 있는 장소에서 확진자가 나왔다고 하지만, 그들은 질병이 어떻게 전파되었는가에 대한 정확한 경로를 찾기보다 확진자가 발생한 장소의 성격만을 노골적으로 강조한다. 설령 전문가의 직함을 빌어 논리를 증명한다 할지라도 언론은 정확한 전파 경로를 확인하려 하기보다 동성애자들이 모여서 걸렸다는 식으로 특정 정체성에 포개어놓는 과학적 근거가 없는 주장을 되풀이한다.   

 

문제는 감염될 수 있다고 추정하는 행위에 특정한 가치를 개입하는 것이다. 기사들은 동성애를 ‘동성애 성관계’로, ‘게이 사우나’로, ‘대규모 광란 파티’로 거듭 반복하며 표현의 강도를 경쟁하듯 높인다. 원숭이두창을 이야기하는데 게이 축제 포스터 이미지를 굳이 기사에 가져다 붙인 저열한 의도는 굳이 따지고 싶지도 않다. 낯선 질병에 낯선 타인을 아무렇지 않게 가져다 붙이는 못된 버릇은 어째서 예나 지금이나 달라진 게 없나.  

 

동성애자 그룹에서 대다수 확진자가 나왔다는 문장은 행간에 많은 틈을 남긴다. 문제는 해당 문장을 쓰는 기자에게 질병의 정보를 전달해야 한다는 사명보다 동성애에 대한 선정적인 노출을 부각하는데 비중을 높인다는 점이다. 해서 묻는다. 어쩌자는 것인가. 앞으로 게이 클럽에서 파티와 섹스를 하면 질병의 낙인을 찍어버리겠다는 것인가? 지금 언론들은 질병에 대한 무지함과 그에 대한 대중의 공포와 두려움을 나와 다른 타인에 대한 도덕적 지탄과 낙인으로 전치하는데 급급해 보인다. 애석하게도 낯선 질병의 등장을 빌어 혐오를 전파하는 일등공신은 다름아닌 언론들이다. 자신들이야 시중의 정보를 있는 그대로 싣고 있다고 주장할테지만, 그들의 문장이 어떤 부작용을 가져올 것인가에 대한 책임은 어디서도 보이지 않는다.   

 

HIVAIDS부터 최근의 코로나 이슈까지 특정 집단을 표적해온 언론의 대응은 어떤 예방효과가 있었나. 많은 의료전문가들과 학자들은 특정 정체성과 집단을 표적하여 질병의 원인인 양 보도하는 것이 예방에 취약한 이들을 고립시켜 숨게 만들고 결국 예방에 악영향을 줄 뿐이라고 수차례 말해왔다. 그렇다면 언론은 시중에 떠도는 의심과 가설과 추정을 그러모아 쏟아낼 것이 아니라, 질병에 대한 입증된 정보를 전달하고 도덕적 지탄과 혐오가 예방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을 숙지하여 질병을 둘러싼 불필요한 편견과 낙인을 강화하는 것을 경계하면 된다.  하지만 왜 그걸 하지 못하고 질병의 이미지를 자극적으로 포장해서 드러내고 싶어 안달인가. 국내에 확산될 가능성이 낮을 거라는 전문가의 의견이 나오고서야 당신들은 언제 그랬냐는듯 관심을 끊고 다른 이슈로 시선을 돌린다. 기자는 풍문을 조달하는 시정잡배인가.   

 

낯선 질병이 계속 등장하는 가운데 언론이 동원하는 건 예방에 취약한 이들, 사회적 소수자로 불리는 이들이다. 이런 상황들은 언론이 언제라도 차별의 기수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야말로 차별금지법에 대한 필요를 더 절실하게 만들지 않는가. 차별금지법을 제정하라고 요구하는 성소수자와 시민사회의 행동들에는 하등 관심도 보이지 않던 언론들이 낯선 질병의 등장에는 너나없이 곧장 성소수자를 동원하는 현실은 한심하기 짝이없다. 어떤 이유에서건 차별을 증폭시키는 언론의 행태는 규탄받아 마땅하다.   

 

 

 

2022. 5. 31.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미디어TF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HIV/AIDS인권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상담 및 인터뷰 요청 전 꼭 읽어주세요! 동인련 2010.05.12 85820
506 <의견서> 성적 지향 및 임신 출산 차별금지를 명시한 서울시 어린이청소년인권조례의 후퇴 없는 제정을 기대합니다. file 동인련 2012.10.09 7173
505 [성명] 이건 자위권 행사가 아니라 명백한 범죄행위다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가자 주민들에 대한 야만적인 공격과 침공 시도를 즉각 중단하라 file 동인련 2012.11.20 8490
504 [보도자료] 성소수자 차별반대 무지개행동의 18대 대통령 선거 성소수자 정책 질의에 대한 각 후보의 답변 내용 분석 file 동인련 2012.11.29 7254
503 항의문] 마포레인보우주민연대의 현수막 게시는 당연한 권리, 마포구청의 현수막 수정 요청 및 게시 거부는 명백한 성소수자 차별이다! file 동인련 2012.12.07 6342
502 [입장] 청소년 성소수자들은 청소년 보호라는 이름 아래 성소수자 혐오를 숨기는 마포구청에 더 화가 납니다. 정욜 2012.12.10 6578
501 그곳에 인권이 있다 UN - 세계인권선언 64주년에 부쳐 + 2012년, 인권활동가들이 뽑은 '올해의 인권 10대 뉴스' file 동인련 2012.12.10 6206
500 221명 지지선언 : 성소수자 차별과 동성애혐오 없는 학교를 위해 서울특별시 교육감 재선거 이수호 후보를 지지합니다 동인련 2012.12.18 6922
499 [논 평] 군대 내 동성애자 사병 자살, 한 사람의 죽음을 애도하며. 1 오리 2013.01.18 6113
498 성명] 국가인권위원회 권고 결정을 환영하며 "국가와 지자체는 사회적 소수자의 인권을 보호하기 위한 의무를 방기해서는 안된다" 정욜 2013.01.24 5671
497 성소수자 차별하는 전북학생인권조례안 (민주통합당 장영수 의원안)을 반대한다. file 동인련 2013.01.25 5071
496 삭제된 것은 ‘논란의 소지’가 아니라 ‘인권’이다 전북도의회와 민주통합당은 후퇴 없는 학생인권조례를 조속히 제정하라! 오리 2013.01.29 5046
495 [성명] 또 다시 마포레인보우주민연대의 현수막 게시 요구를 묵살한 마포구청을 규탄한다! file 동인련 2013.02.19 5728
494 [의견서] 전북도의회가 교육청 원안을 받아들여 전북학생인권조례를 제정하기 바랍니다. 이경 2013.02.27 4630
493 기자회견문] 박근혜 정부에 요구한다! 최대의 사회악은 차별이다! 국가인권기본법인 차별금지법 제정하라! file 동인련 2013.03.07 4680
492 <코미디 빅리그> 행정지도 권고 유감,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동성애혐오를 조장하지 말라 동인련 2013.03.12 5348
491 의견서] 강원도 교육청은 학생인권 훼손을 철회하고 인권의 가치를 지켜내기 바랍니다. 동인련 2013.03.12 4737
490 한국 인권상황에 대한 국제사회 권고, 한국정부 반드시 이행해야 제2차 유엔 국가별 인권상황정기검토에 대한 정부 응답, ‘검토’ 답변만 동인련 2013.03.19 4824
489 성기성형수술을 하지 않은 성전환자에 대한 성별정정 허가 결정을 환영하며, 성전환자의 성별정정 요건 및 절차 전반에 대한 재검토를 요구한다! 오리 2013.03.21 4819
488 차별금지법과 관련한 김한길 의원의 입장 표명에 안타까움을 표하며 1 덕현 2013.03.27 4775
487 [노바티스 패소, 특허독점에 맞선 전 세계 환자들의 승리] 인도대법원의 판결을 환영한다!! file 동인련 2013.04.02 463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1 Next
/ 31